d라이브러리









[과학뉴스] 밤바다에서 어린 물고기가 반짝반짝!

 

 

3월 30일,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데이비드 존슨 연구원과 스쿠버다이버 제프 밀리슨 공동연구팀은 야간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어린 물고기들의 실제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어요. 물고기는 알에서 깨어난 후 다 자랄 때까지 여러 모습을 거쳐요. 알에서 깨어난 물고기는 보통 먹이를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알의 일부를 몸에 달고 다니면서 남아 있는 영양분을 흡수해요. 이 시기의 물고기를 ‘자어’라고 부르는데, 다 자란 성어와 많이 다른 모습이에요. 이 시기가 지나면 ‘치어’가 되는데, 이때부터는 성어와 비슷한 모습이 돼요.


 스쿠버다이버들은 해가 진 뒤 바다로 들어갔어요. 이즈음 바다에는 천적을 피해 숨어있던 자어들이 해수면 가까이 올라와 활동하거든요. 연구팀은 바닷속에서 만난 자어들의 모습을 촬영하고 채집한 뒤, 유전자를 분석해 어떤 물고기인지 확인했어요. 그 결과, 이전에 표본으로 만들어 두었던 자어의 모습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예를 들어, 홍투라치의 자어는 표본에서 볼 수 없었던 길고 가는 지느러미가 여러 개 있었어요. 채집이나 표본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떨어져 나갔기 때문에 확인할 수 없었던 거예요. 자어를 표본으로 만들기 위해 보존 용액에 담그면 본래 색깔을 잃어요. 그래서 삼점오른눈가자미나 세발치의 자어처럼 자연 상태에서의 독특한 색과 무늬를 알게 된 경우도 있었지요. 연구팀은 “자어의 모습과 행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물고기의 종 다양성을 지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며 스쿠버다이버들에게 고마움을 표현했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1년 09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병구 기자 기자

🎓️ 진로 추천

  • 해양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