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달에서 총을 쏘면 어떻게 될까요? (김미솔 brad999)

결론부터 말하자면 총은 달뿐만 아니라 우주 공간, 물속에서도 잘 발사돼요. 총알에는 장약*과 충격을 받으면 점화하는 뇌관이 들어 있어요. 총의 방아쇠를 당기면 공이가 총알의 뇌관을 때리고, 뇌관에 전달된 에너지가 총알 속 장약으로 전달돼요. 그러면 장약이 연소하고 추진제를 내뿜으며 총알이 날아가지요. 총알을 발사하기 위한 모든 재료는 전부 총알 안에 있기에 총은 발사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요.
그렇다면 달에서 총을 쏠 때와 지구에서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K2 소총을 지구에서 쏘면, 총알은 초속 920m의 속도로 최대 3300m를 날아가다가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져요. 한편, 달에서는 중력이 지구보다 6분의 1만큼 작아서 총알이 같은 속도로 발사돼도 훨씬 먼 거리인 약 8000m를 날아가지요.
만약 우주에서 총을 쏜다면 어떻게 될까요? 총을 쏜 사람은 총을 쏜 반대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큰 충격을 받아요. 지구에서 총을 쏘면 사람의 어깨가 들썩이는 이유지요. 그런데 우주는 공기도 거의 없고 발을 붙일 지면도 없는 데다, 중력도 작용하지 않아요. 그래서 몸무게가 75kg인 성인이 우주에서 소총을 쏘면 어깨가 들썩일 뿐 아니라, 초속 약 5cm로 총알과 반대 방향으로 끝없이 날아가게 된답니다.

 

Q. 차가운 물은 얼리면 불투명한데, 왜 뜨거운 물은 얼리면 투명해요? ( 이유경 dangli0212)

저희 집만 물을 끓여서 얼리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냉장고에서 깨끗한 물을 얼려도 얼음이 불투명한 이유는 기포 때문이에요. 물속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기체(기포)가 녹아 있어요. 물속에 녹아있는 기체는 물이 어는 동안 물 밖으로 날아가요. 하지만 물이 급속히 얼면 기체가 미처 물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얼음 속에서 기포 형태로 남게 되지요. 이 기포들은 빛을 이리저리로 흩뿌리기 때문에 얼음은 불투명하게 보여요.
얼음을 투명하게 얼리기 위해선 물에 녹아 있는 불순물과 기체를 최대한 제거해야 돼요.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물에 녹을 수 있는 기체의 양이 줄어들어요. 따라서 물을 데우거나 끓이면 물속에 녹아 있던 기체들이 밖으로 빠져나오지요. 그래서 뜨거운 물을 얼리면 물속에 기체가 적게 들어있기 때문에 맑고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답니다.

 

Q.치석은 왜 생기나요? ( 류인하 bominu)

치석은 충분히 양치질을 하지 않아 입속에 있는 음식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때 생겨요. 그럼 치아 표면이나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낀 음식 찌꺼기에 세균이 들러붙으며 얇은 생물막을 이뤄요. 이를 ‘치태’라고 하지요. 이 치태가 단단하게 굳어진 것이 바로 ‘치석’이에요.
치석이 생기는 과정은 침의 성분과 연관이 있어요. 침의 칼슘과 인 성분이 치태와 결합하여 돌처럼 단단히 굳은 덩어리가 돼요. 그래서 치석은 주로 침샘과 가까운 잇몸 쪽에 생기죠. 특히 혀 밑에 있는 점액성 침샘은 다른 침샘보다 더 끈적한 침을 만들기 때문에 아랫니 안쪽에 치석이 빨리 생긴답니다.
치태는 양치질로 쉽게 제거할 수 있지만, 치석은 양치질로도 쉽게 떨어지지 않아서 스케일링과 같은 치료가 필요해요. 치석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선 양치질을 잘하고 단 음식을 줄이는 것이 좋아요. 섬유질은 씹을 때 세균막을 청소하는 효과가 있어서 섬유질이 포함된 음식을 챙겨 먹는 것도 치석 예방에 도움이 되지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0년 2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윤태인 기자
  • 디자인

    최은영
  • 도움

    이복직, 이관중, 여재익(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정은미(일산 사과나무치과병원 치위생사)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천문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