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

외래종 왕우렁이로부터 우리 농촌 지키자!

 

지구사랑탐사대 최고참 팀인 닥터구리 팀의 유다은 대원이 큰 상을 받았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친구와 함께 팀을 이뤄 참가한 ‘제6회 국립생태원 생태동아리 탐구대회’ 고등부에서 대상인 환경부 장관상을 받은 거예요. 유다은 대원은 지사탐 탐사 경험을 살려 외래종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대요. 특별히 어과동 친구들에게만 대상을 받은 비결을 알려준다는대요! 함께 들어볼까요?

 


Q 대상 수상을 축하해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이 도움이 됐다고요?

 

감사합니다. 이번 연구 주제를 생각해낸 건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이에요. 수원청개구리 탐사활동을 하면서 어린 모를 갉아먹는 왕우렁이를 봤어요. 신기하기도 하고, 걱정도 돼 왕우렁이를 검색해봤지요. 그리고 왕우렁이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선정한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침입종’에 포함될 만큼 왕성한 번식력으로 악명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Q 왕우렁이가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침입종이라고요?

 

왕우렁이는 사과우렁이과의 연체동물로 1983년 식용으로 정부 승인을 받아 일본에서 우리나라에 수입됐어요. 그러다 식욕이 좋아 논의 잡초를 잘 없앤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1990년 초부터 모내기 일주일 뒤 논에 왕우렁이를 풀었지요. 일본에서 온 왕우렁이는 2℃ 이하의 온도에서는 살기 어려워 우리나라의 겨울을 나지 못했어요. 그런데 요새는 우리나라 생태계에 적응해 이듬해 봄까지 살아남기도 해요. 덜 자란 어린 모나 농작물을 갉아 먹어 피해를 주지요. 이에 지난 10월, 환경부에서는 생태계 교란종으로 왕우렁이를 추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어요. 저는 이렇게 두 얼굴을 가진 외래종 왕우렁이의 생태 특성을 알아보고 싶었어요. 

 

 

Q 왕우렁이의 생태를 어떻게 연구했나요?

 

이번 탐구 활동은 약 3개월간 전북 익산시 일대에서 진행됐어요. 평소 관심 있던 왕우렁이를 주제로 선정한 후, 전북농업기술원의 자료로 익산 지역에서 왕우렁이 농법을 이용하는 농가가 얼마나 되는지 현황을 파악했지요. 또, 왕우렁이와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고, 논농사를 하는 6곳을 무작위로 선정해 농가의 허락을 받고 서식지를 조사했어요. 또, 전북농업기술원의 농업연구사, 익산농업기술센터 왕우렁이 지원사업 담당자, 왕우렁이 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영농조합법인 이장님 등을 인터뷰했어요. 또, 토종 논 우렁이와 비교관찰도 했지요. 

 

 

Q 토종 논우렁이를 관찰한 이유가 있었나요? 

 

외래종 왕우렁이를 농사에 이용한 뒤로 토종 논우렁이는 점점 사라지고 있어요. 이번 조사에서도 토종 논우렁이는 찾아보기 힘들었지요. 어떤 이유 때문인지 알아보고 싶었어요. 

 

Q 토종 논우렁이와 왕우렁이의 차이가 있었나요?

 

토종 논우렁이와 외래종 왕우렁이 10개체를 일주일간 가로 40cm, 세로 30cm, 높이 20cm 수조에서  관찰한 결과 왕우렁이는 토종 논우렁이와 달리 교미를 해 알을 많이 낳았고, 수직으로 된 벽이나 풀을 기어오를 수 있었어요. 1분에 7cm 정도 움직이는데 수조 밖으로 나와 바닥을 기어 다니기도 했지요. 하지만 토종 논우렁이는 수조 벽이나 풀을 잡고 기어오르지 못해 수조 안에서만 생활했고 번식하지도 않았어요.

 

Q 이 실험이 의미하는 게 있나요?

 

왕우렁이는 번식력이 매우 좋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거예요. 토종 논우렁이는 한 번에 20~30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왕우렁이는 한 번에 100~900개의 알을 낳아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토종 논우렁이는 경쟁에 밀려 사라지게 될 거예요. 이미 사라져 버린 건 아닌지 걱정돼요. 이번 조사를 하면서 논에서 토종 논우렁이를 한 개체도 찾지 못했거든요. 그래서 앞으로 토종 논우렁이에 관심을 두고 지켜볼 예정이랍니다.

 

Q 기쁜 소식이 또 하나 있다고요?

 

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제65회 전국과학전람회’에서 우수상을 받았어요.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매미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지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으로 이렇게 큰 상을 받은 게 벌써 5번째예요. 연구자료가 쌓인 결과지요. 


아직 지구사랑탐사대를 하지 않는 친구들이 있다면 2020년 지구사랑탐사대 8기에 꼭 도전하라고 말해 주고 싶어요. 활동을 계속하다 보면 자연스레 탐사력이 쑥쑥 자랄 거예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9년 2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박연수 기자 기자
  • 사진 및 도움

    유다은(전북 익산 이리여고)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