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2018년은 황금개띠의 해예요. 강아지는 여러 동물 중에서도 사람과 친밀한 동물이지요.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좋아한다면 어떤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오늘은 여러 강아지들 중에서도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색 강아지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해요. 그리고 이 네 강아지 중에서 어떤 강아지가 가장 마음에 드는지 각자 투표해 보는 건 어떨까요? 
 
첫 번째 후보는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린 스타 과학견입니다! 이들은 똑똑하고 적응력이 좋은 특징을 살려 과학 연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맡았지요. 스타 과학견의 주인공들을 만나 보실까요?
 
위키미디어(Aruzhank NIS) 제공
 
1. 지구 최초의 우주 비행견, 라이카
 
지구 최초의 우주 비행견은 떠돌이 개 ‘라이카’였어요. 과학자들은 떠돌이 개가 추위와 굶주림에 이미 적응돼 있어 우주 공간에서도 잘 견디리라 생각했거든요. 1957년 11월 라이카는 세계 두 번째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2호를 타고 우주로 출발했어요. 맥박과 체온 등을 잴 수 있는 장치들을 달고서요. 인공위성 안에 라이카가 탄 캡슐은 굉장히 좁았어요. 그래서 움직일 수도 없고, 먹고 배변하는 것 모두 그 자리에서 해야 했지요.
 
위키미디어(wellcomeimages) 제공
 
2. 조건반사 실험, 파블로프의 개
 
심리학 실험에 참가해 역사적으로 유명해진 개가 있어요. 바로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의 개예요.
 
실험은 간단해요.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고, 먹이를 주는 거예요. 처음엔 종소리에 별 반응이 없고 먹이를 봤을 때만 본능적으로 침을 흘려요. 하지만 이 과정을 반복하면 나중에는 먹이 없이 종소리만 들려줘도 개가 침을 흘리게 된답니다. 즉, 개는 종소리가 들리면 먹이를 주는 많은 ‘경험’을 통해 ‘학습’을 하고 그 결과 ‘조건반사’ 반응을 보인 거예요.
 

GIB 제공

 

3. 내겐 남다른 직업이 있다, 특수목적견

 
특수목적견은 태생부터 남달라요. 예전에는 우수한 특수목적견들을 교배해 새끼를 낳는 것에 그쳤어요. 반면 지금은 우수한 개를 실험실에서 복제하는 단계에 이르렀지요. 실제로 지난 2008년부터 복제기술을 통해 240마리 이상의 특수목적견이 탄생했답니다. 이 개들은 부모의 우수한 형질을 그대로 물려받은 덕에 80% 이상이 특수목적견 시험에 합격했지요. 이는 일반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랍니다.
 
GIB 제공
 
4.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반려견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안정감을 주는 데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어요. 실제로 일본 아자부대학교 연구팀은 사람이 반려견과 교감할 때 행복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분비되는 걸 확인했어요. 이런 연구를 이용해 환자를 치료할 때 반려견과 함께하는 ‘동물매개치료’도 이루어지고 있답니다.
 
<;수업안내>;

1. 대상 :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색 강아지들에 대해 알고 싶은 누구나.

2. 제목 :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

3. 수업 목표

과학 연구에 참여한 개에 대해 알 수 있다.

특수목적견이 어떤 훈련을 통해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다.

이색 반려견과 로봇반려견에 대해 알 수 있다.

4. 교과 연계

초등 3, 4학년 생활 속 동물

5. 수업 지도 순서

좋아하는 강아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면서 수업에 대한 호기심을 유도 한다. 2018년 개띠 해를 맞아 과학과 관련된 특별한 이색 강아지 후보 프로필을 간단히 소개 한다. 네 후보 중 자신이 마음에 드는 강아지 한 마리를 선택해, 같은 강아지를 선택한 사람들끼리 조를 만든다. 조별로 강아지 홍보 포스터를 만든다. 조 대표가 강아지 홍보 포스터를 이용해 설명한다. 완성한 포스터를 각각 교실 벽에 전시하고, 스티커를 이용해 최고의 황금개에게 투표한다. 결과를 발표하고 수업을 마무리한다.

 
 

2018년 0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수의학
    • 심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