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제63회 전국과학전람회’에서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특상을 받았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전국과학전람회’는 올해에만 6000여 명이 참가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된 과학탐구 대회랍니다. 평소 <;지구사랑탐사대>;로 내공을 쌓아온 대원들이 어떤 연구를 했는지 함께 들어 볼까요?
왜 산벚나무를 연구했나요?
경상남도에 있는 해인사로 여행을 하던 중 팔만대장경이 주로 산벚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목판인 팔만대장경의 형태가 지금까지 오롯이 보존된 것이 정말 신기했어요. 그 비밀이 산벚나무에 있는 것은 아닐까 궁금했지요.
탐구 과정을 소개해 주세요!
산벚나무를 비롯해 돌배나무, 소나무, 오동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박달나무 등 7종류 나무를 실험 대상으로 정했어요. 각 나무의 단면 구조, 강도, 방충 효과, 향균력, 팽창 정도, 인쇄 선명도 등을 비교했어요.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실험 조건을 만들고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에요. 방충 효과와 향균력 실험은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나무, 3% 소금물에 2분 동안 삶거나 10분 동안 넣은 나무 등 3가지 조건으로 여러 번 실험했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나요?
모든 실험에서 산벚나무가 항상 우수한 결과로 나타나지는 않았어요. 향균력은 박달나무가 가장 뛰어났지요. 하지만 저는 팔만대장경을 만들 때 목판에 먹물을 칠하고, 화선지에 글자를 찍는 ‘인경’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조각도로 새긴 글자를 찍어 봤는데, 산벚나무 목판으로 찍은 글씨가 가장 선명했어요.
강나연 대원의 한 마디!
<;지구사랑탐사대>;로 생명의 소중함을 알았다면 전국과 학전람회를 통해 기록의 중요성을 배웠어요. 연구 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해야만 신뢰할 수 있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거든요. 앞으로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할 때 더 열심히 기록해야겠다고 다짐했답니다.
금개구리를 연구한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4년 전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으로 집 주변 논에서 개구리를 찾다가 우연히 멸종위기종 2급인 금개구리를 발견했어요. 그때부터 금개구리가 논과 ●수로 사이를 이동하며 서식하는 것을 꾸준히 관찰했지요. 그런데 흙 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자 금개구리가 사라졌어요. 콘크리트 수로에서도 금개구리가 살아갈 수 있게 돕고 싶었어요.
●수로 : 농업용수를 논으로 가져오기 위해 논과 논 사이에 만든 구조물.
어떤 방법으로 실험했나요?
다른 물체에 달라붙기 위한 ‘흡반’ 기관이 앞발에 없는 개구리는 수직인 벽을 오를 수 없어요. 수로 경사면이 완만할수록, 바닥이 덜 미끄러울수록 이동이 쉽다고 가정했어요. 기울기와 바닥의 모양이 다른 5가지 실험 수로를 만들었지요. 각 수로에 12마리 참개구리를 1마리씩 넣고, 5분 동안 관찰하며 총 60번 실험했답니다.
연구 결과 수로의 경사가 70°(도)이고, 바닥에 가로줄무늬 홈이 있을 때 참개구리가 경사면을 잘 오를 수 있었어요.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
2014년부터 3년 동안 흙 수로 주변 6개 논과 콘크리트 수로 주변 6개 논에서 1시간 동안 보이는 금개구리 수를 기록했어요. 또한, 금개구리는 멸종위기종이기 때문에 참개구리로 실험했어요.
완주군청에 ‘야생동물 포획허가 신청서’를 제출한 후 참개구리 12마리를 채집했어요. 실험이 끝난 즉시 참개구리를 채집 장소에 놓아 주고, 그 장면을 촬영하기도 했답니다.
유다은 대원의 한 마디!
이번 연구 결과를 얻기까지 4년 6개월이나 걸렸어요! 지사탐을 하면서 생긴 생물에 대한 관심이 오랜 시간 연구할 수 있는 힘이 됐어요. 대회는 끝났지만, 금개구리를 위해 더 나은 생태수로를 만들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