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_00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5.jpg)
과학 동아리 ‘리틀 뉴턴’ 학생들과는 지난해부터 함께 민물고기 탐사도 다니고, 과학축제 부스 운영도 하고, 과학대회를 준비해 큰 상도 받았답니다. 2년째 거의 매일 같이 과학실에 모여 함께 여러 활동을 계획하고, 매주 함께 전국을 누비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서로 친해질 수밖에 없지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6.jpg)
주말마다 동아리원 4~5명을 선발해 돌아가면서 민물고기 탐사를 가요. 지금까지 약 100종 3000마리의 민물고기를 만난 것 같아요. 한번은 애들이 가시고기를 보고 싶어해서 강원도 정선에 있는 연곡천에 갔어요. 가시고기를 보는데 갑자기 첨벙거리는 소리가 들려왔어요. 커다란 황어가 바다에서 올라오는 소리였지요. 이건 정말 다큐멘터리에서나 볼 법한 진귀한 광경이래요. 이날 경험을 바탕으로 ‘가시고기와 황어’를 주제로 과학 연극을 만들어 대한민국창의력챔피언대회에서 대상을 받았어요. 그 덕분에 여름방학에는 아이들과 함께 중국 상해로 4박 5일 간 연수도 다녀왔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3.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7.jpg)
제가 학교에 부임해 처음 한 일이 바로 <;어린이과학동아>; 구독 신청이었어요. 과학 잡지는 소재가 다양해서 좋아요. 작년에는 학생들과 함께 어과동을 읽고, 기사 다시 쓰기를 해 봤어요. 그렇게 하면 과학 주제를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지요. 또, 아이들이 민물고기 포스터나 부스를 준비할 때 캐릭터나 만화를 많이 그려요. 이때 어과동에서 아이디어를 많이 얻었지요. 올해 장이권 교수님과 지사탐 어벤저스로 활동하고 있는 성무성 학생을 만난 것도 의미가 커요. 교수님과 함께 매미 탐사도 하고, 강의도 들으며 탐사에 대한 새로운 자극을 많이 받았지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8.jpg)
학생들은 과학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직접 부스를 운영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발표를 잘 하는 훈련을 하게 돼요. 최선을 다해 도전하고 성취하는 경험은 누구에게나 큰 자산이 되지요. 우리 친구들이 사회에 나가 리더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9.jpg)
애들이 저랑 평생 계약했대요. 이 친구들이 졸업해도 계속 연락하며 멘토 역할을 해 주고 싶어요. 내년부터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열심히 해 보려고요. 민물고기 외에도 개구리, 제비, 매미 등 다양한 생명을 지키고 연구자의 과학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는 경험을 아이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10/C201620N013_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