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혹시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가 곤충 식량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개미나 메뚜기를 먹는다고 생각하니까 징그럽고, 못 먹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익숙하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왜 곤충이 미래 식량의 대안이라고 하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오늘날을 생각하면 이렇게 먹을 것이 넘쳐나는데 말이에요. 
 
오늘은 기사를 토대로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인 곤충 식량은 물론 또 다른 미래 식량의 후보까지 알아보기로 해요. 
 
먼저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진다는데 왜일까요?
 
GIB 제공
 
○ 사람들로 북적대는 2050년 지구
 
2050년엔 전세계 사람들이 먹을 식량이 부족해지는 글로벌 보릿고개가 올지도 모른대요. 지금은 지글지글 삼겹살과 맛있는 빵, 철을 모르고 계속해서 나오는 과일들이 넘쳐나는데 어째서 식량난이 생긴다고 하는 걸까요?
 
식량이 부족해지는 이유엔 여러 가지가 있어요. 가장 큰 이유는 늘어나는 인구! 유엔경제사회국은 지난 7월 29일 ‘2015 세계인구보고서’를 공개했어요. 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73억 명인 전세계 인구 수가 꾸준히 늘어나 2030년엔 85억 명, 2050년엔 96억 명, 그리고 2100년엔 무려 112억 명이 될 거라고 해요.
 
지구상에 사는 사람 수가 많아지면 사람들이 먹는 음식도 더 많이 필요할 수밖에 없어요. 실제로 2050년이 됐을 때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굶지 않으려면 식량 생산량을 지금보다 두 배로 늘려야 한다는 계산 결과도 있답니다.
 
미래 식량의 후보 중 첫 번째는 바로 곤충이에요. 징그러운 곤충이 왜 식량 후보일까요? 또  어떤 곤충을 식량으로 할 수 있다는 걸까요?
 
 
○ 미래식량 유망주, 곤충
 
2013년 5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서는 곤충을 유망한 미래식량으로 꼽았어요. 곤충을 먹으면 굶주리는 사람들이 줄어들 수 있고,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다는 거예요.
 
우리가 아는 곤충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 몸에 다리 6개와 날개 2개를 달고 있는 자그마한 생물체예요. 매미, 귀뚜라미, 메뚜기 등 우리 주변에서도 곤충을 아주 흔히 볼 수 있지요. 하지만 흔하다고 해서 무시할 수 없어요. 역사도 깊고 개체수도 어마어마하게 많거든요.
 
이 작은 동물들은 우리보다 더 오랫동안 지구에 살아남았어요. 학자들은 곤충들이 약 3억 5000만~4억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또 알려진 것만 80만 종 이상, 그리고 개체수는 1000경 마리 정도일 거라고 해요. 이렇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은 곤충이 미래식량 유망주가 된 이유이기도 해요. 언제 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가 될 테니까요.
 
실제로도 이미 곤충은 세계 곳곳에서 식량으로 이용되고 있어요. 약 20억 명 정도가 1900종의 곤충을 먹으며 살고 있죠. 그 중에서도 딱정벌레 종류가 전체 식용곤충의 31%를 차지해 가장 많이 먹는 곤충으로 꼽힌답니다.
 
<;수업안내>;
 

1. 대상 :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인 곤충 식량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

3. 수업 목표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지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미래 식량의 후보 중 하나인 곤충 식량에 대해 알 수 있다.

또 다른 미래 식량 후보인 배양 고기와 스피루리나에 대해 알 수 있다.

4. 교과 연계

초등 5~6학년 생명의 연속성, 균류

5. 수업 지도 순서

곤충을 먹어본 적이 있는지, 곤충식량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을 통해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한다.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데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인 곤충 식량에 대해 설명한다. 어떤 곤충을 먹을 수 있는지, 또 곤충이 왜 미래 식량의 대안인지 설명한다. 또 다른 미래 식량 후보인 배양 고기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미래 식량 후보인 스피루리나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2015년 17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식품학·식품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