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014년 2월 12일 남극으로부터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우리나라의 두 번째 남극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가 준공됐다는 소식이에요. 1988년 2월 17일 킹조지 섬에 세종과학기지를 세운 지 20여 년만의 일이죠. 이로써 우리는 세계에서 10번째로 남극에 월동기지를 두 개 이상 운영하는 나라가 됐어요. 그런데 두 기지 모두 추운 2월에 준공했네요. 왜일까요? 우리나라가 위치한 북반구는 12월부터 2월까지 겨울이지만 남극이 있는 남반구는 반대로 여름이거든요. 앞으로 많은 활약을 기대하며 극지연구소에서 보내온 남극의 멋진 모습을 만나볼까요?
 

영하 수십℃에서도 사는 남극 생물

장보고과학기지는 곧 다가올 겨울을 보내려고 제1차 월동연구대를 만들었어요. 이들의 첫 번째 목표는 안전하게 겨울을 보내는 거랍니다. 얼마나 춥길래 그러냐고요? 남극은 지구에서 가장 기온이 낮고 바람이 센 곳으로 유명해요. 특히 러시아 보스토크 남극 기지는 연평균 기온이 영하 55.4℃로 가장 추운 곳이지요. 1983년 7월에는 영하 89.2℃까지 내려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기록하기도 했답니다. 하지만 이렇게 추운 남극에도 생물들이 살고 있어요. 대부분 대륙 안쪽보다는 먹이가 풍부한 해안가에서 살고 있지요. 식물 플랑크톤이 풍부해 이를 먹는 가재류가 살고, 이 가재류를 먹이로 삼는 펭귄과 바다표범, 고래가 먹이사슬을 통해 생태계를 이룬답니다.
 

남극 대륙으로 진출하다!

왜 살기 힘든 남극에 과학기지를 또 세웠을까요? 두 기지는 거리가 무려 4500㎞나 떨어져 있을 정도로 환경이 매우 다르답니다. 세종과학기지는 남극 대륙에 가깝지만 상대적으로 따뜻한 킹조지 섬에 위치해 남극 생물과 해양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해왔어요. 장보고과학기지는 더 춥고 열악한 남극 대륙에 있어요. 그래서 남극 대륙의 지질, 빙하연구, 고층대기처럼 대륙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연구에 초점을 두고 활동할 계획이랍니다. 오가희 과학동아 기자가 장보고기지로 가고 있어요. 남극에서 보낼 생생한 소식도 곧 전해 줄게요. 기대하세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4년 0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박응서 기자
  • 도움

    극지연구소
  • 사진

    극지연구소

🎓️ 진로 추천

  • 지구과학
  • 해양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