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군사를 모집하고 있는 닥터그랜마예요. 그런데 집단을 이루며 살아가는 박테리아가 역할을 나누어 다른 박테리아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효율 높게 전쟁하는 이 박테리아들을 군사로 섭외하러 가 볼래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0/C201220N005_img_99.jpg)
집단을 이루며 살아가는 너희는 누구니?
우리들은 비브리오 과에 속하는 해양 박테리아들이에요. 사람 몸속에 들어가면 콜레라나 장염을 일으킨답니다. 우리는 집단끼리 전쟁을 자주 치르기 때문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환경미생물학자인 마틴 폴즈 교수팀이박테리아 집단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우리를 골랐어요.
박테리아 집단끼리 싸운다고?
우리뿐만 아니라 많은 생명체 집단들은 서로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어요. 먹이와 살아가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폴즈 교수님은 박테리아를 두 계통씩같은 접시에 배양해 경쟁을 시켰는데요. 실험 결과 박테리아 185계통 중에 44%가 다른 박테리아가 더 이상 자라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항생물질을 내뿜었어요. 또 이 과정에서 협동하는 집단이 승리할 가능성이 높았답니다. 생존을 위해 각자 맡은 역할을 열심히 하거든요. 거의 모든 박테리아는 집단이 사용할 수 있는 효소를 만들고 5% 정도 되는 적은 수는 우리에게는 해롭지 않은 항생물질을 내뿜어 상대 박테리아들을 죽이죠.
항생물질이란 무엇이지?
우리 같은 박테리아가 만드는 물질로, 상대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녹이거나 증식하는 것을 방해해 더 이상 자라지 못하게 막는 물질이에요. 1929년 영국의 알렉산더 플레밍이 푸른곰팡이에서 최초로 페니실린을 발견한 뒤,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등 수많은 항생물질을 발견했어요. 사람들은 항생물질을 이용해 박테리아의 감염을 막아 파상풍 같은 질환을 예방한답니다. 박테리아 집단 내에서 항생물질을 만들면,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개체는 죽고 튼튼한 박테리아만 남게 돼요. 즉 항생물질은 집단이 건강하게 진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죠.
나를 도와 지구를 정복해 보지 않겠니?
우리는 앞으로 사람들이 건강하도록 유익하게 쓰일 예정이에요. 최근에 나타난 슈퍼박테리아를 무찌를 군사가 되기로 했거든요. 슈퍼박테리아는 항생물질에 대해 내성이 생긴 것이에요. 지금까지 발견한 항생물질은 토양 박테리아가 만들었는데, 폴즈 교수팀은 우리 같은 해양 박테리아가 만드는 항생물질로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할 계획이랍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0/C201220N005_img_99.jpg)
집단을 이루며 살아가는 너희는 누구니?
우리들은 비브리오 과에 속하는 해양 박테리아들이에요. 사람 몸속에 들어가면 콜레라나 장염을 일으킨답니다. 우리는 집단끼리 전쟁을 자주 치르기 때문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환경미생물학자인 마틴 폴즈 교수팀이박테리아 집단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우리를 골랐어요.
박테리아 집단끼리 싸운다고?
우리뿐만 아니라 많은 생명체 집단들은 서로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어요. 먹이와 살아가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폴즈 교수님은 박테리아를 두 계통씩같은 접시에 배양해 경쟁을 시켰는데요. 실험 결과 박테리아 185계통 중에 44%가 다른 박테리아가 더 이상 자라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항생물질을 내뿜었어요. 또 이 과정에서 협동하는 집단이 승리할 가능성이 높았답니다. 생존을 위해 각자 맡은 역할을 열심히 하거든요. 거의 모든 박테리아는 집단이 사용할 수 있는 효소를 만들고 5% 정도 되는 적은 수는 우리에게는 해롭지 않은 항생물질을 내뿜어 상대 박테리아들을 죽이죠.
항생물질이란 무엇이지?
우리 같은 박테리아가 만드는 물질로, 상대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녹이거나 증식하는 것을 방해해 더 이상 자라지 못하게 막는 물질이에요. 1929년 영국의 알렉산더 플레밍이 푸른곰팡이에서 최초로 페니실린을 발견한 뒤,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등 수많은 항생물질을 발견했어요. 사람들은 항생물질을 이용해 박테리아의 감염을 막아 파상풍 같은 질환을 예방한답니다. 박테리아 집단 내에서 항생물질을 만들면,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개체는 죽고 튼튼한 박테리아만 남게 돼요. 즉 항생물질은 집단이 건강하게 진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죠.
나를 도와 지구를 정복해 보지 않겠니?
우리는 앞으로 사람들이 건강하도록 유익하게 쓰일 예정이에요. 최근에 나타난 슈퍼박테리아를 무찌를 군사가 되기로 했거든요. 슈퍼박테리아는 항생물질에 대해 내성이 생긴 것이에요. 지금까지 발견한 항생물질은 토양 박테리아가 만들었는데, 폴즈 교수팀은 우리 같은 해양 박테리아가 만드는 항생물질로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할 계획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