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아아아아아아악! 저 날카로운 이빨 좀 봐!
이렇게 무서운 공룡이 한반도를 습격했어! 무려 17종에 80여 마리나 되는 백악기 공룡이라고! 최고의 포식자 ‘타르보사우루스’는 물론, 거대 초식 공룡 ‘부경고사우루스’에, 하늘을 나는 익룡 ‘해남이크누스’까지 나타났어! 우아아아앙! 우린 이제 어쩌면 좋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99.jpg)
우왓! 우리가 너무 진짜 같아서 놀랐구나? 안심하라고!
한반도를 습격한 공룡은 내가 나오는 영화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 3D’의 공룡이니까 말이야! 물론 친구들이 깜짝 놀라는 것도 충분히 이해가 돼. 우리의 모습이 놀랍도록 생생하고 입체적이라서 진짜라고 오해할 만하거든.
우리는 아시아 최초로 공룡 다큐멘터리 ‘한반도의 공룡’을 연출한 한상호 감독이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 만든 극장용 3D 애니메이션이야. 영화 나니아연대기, 슈퍼맨리턴즈 등의 할리우드 영화 제작에 참여해 온 카이스트 공학연구소가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맡은 것은 물론영화 올드보이, 태극기 휘날리며의 특수분장을 했던 위저드에서 공룡캐릭터 작업을 했어. 더욱 사실적인 공룡의 모습을 만들기 위해 실제로 공룡을 만들어 실사촬영을 하고, 이를 컴퓨터 그래픽과 합치는 ‘애니메트로닉스’ 특수촬영 기법을 사용했지. 게다가 백악기 공룡시대를 완벽하게 재현한 배경은 뉴질랜드를 5개월 동안 샅샅이 뒤져 찾아낸 풍경이란다.
또 우리의 모습은 오랫동안 공룡을 연구해 오신 한국공룡연구센터의 허민 교수님의 고증을 거쳤어. 허민 교수님은 8500만 년 전 한반도에 살았던 토종 공룡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의 형태를 7년 간 연구해서 복원하기도 했단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3.jpg)
![어린이과학동아’의 형인 ‘과학동아’의 특집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가 한국에서 발견된 공룡의 공식 학명이 되었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4.jpg)
8000만 년 전, 백악기 최후의 낙원 한반도. 이곳의 제왕인 ‘타르보사우루스’로 태어난 나, 점박이의 흥미진진한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친구
들도 함께 떠나지 않을래? 크아앙!
이렇게 무서운 공룡이 한반도를 습격했어! 무려 17종에 80여 마리나 되는 백악기 공룡이라고! 최고의 포식자 ‘타르보사우루스’는 물론, 거대 초식 공룡 ‘부경고사우루스’에, 하늘을 나는 익룡 ‘해남이크누스’까지 나타났어! 우아아아앙! 우린 이제 어쩌면 좋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99.jpg)
우왓! 우리가 너무 진짜 같아서 놀랐구나? 안심하라고!
한반도를 습격한 공룡은 내가 나오는 영화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 3D’의 공룡이니까 말이야! 물론 친구들이 깜짝 놀라는 것도 충분히 이해가 돼. 우리의 모습이 놀랍도록 생생하고 입체적이라서 진짜라고 오해할 만하거든.
우리는 아시아 최초로 공룡 다큐멘터리 ‘한반도의 공룡’을 연출한 한상호 감독이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 만든 극장용 3D 애니메이션이야. 영화 나니아연대기, 슈퍼맨리턴즈 등의 할리우드 영화 제작에 참여해 온 카이스트 공학연구소가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맡은 것은 물론영화 올드보이, 태극기 휘날리며의 특수분장을 했던 위저드에서 공룡캐릭터 작업을 했어. 더욱 사실적인 공룡의 모습을 만들기 위해 실제로 공룡을 만들어 실사촬영을 하고, 이를 컴퓨터 그래픽과 합치는 ‘애니메트로닉스’ 특수촬영 기법을 사용했지. 게다가 백악기 공룡시대를 완벽하게 재현한 배경은 뉴질랜드를 5개월 동안 샅샅이 뒤져 찾아낸 풍경이란다.
또 우리의 모습은 오랫동안 공룡을 연구해 오신 한국공룡연구센터의 허민 교수님의 고증을 거쳤어. 허민 교수님은 8500만 년 전 한반도에 살았던 토종 공룡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의 형태를 7년 간 연구해서 복원하기도 했단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3.jpg)
![어린이과학동아’의 형인 ‘과학동아’의 특집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가 한국에서 발견된 공룡의 공식 학명이 되었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2/C201202N006_img_04.jpg)
8000만 년 전, 백악기 최후의 낙원 한반도. 이곳의 제왕인 ‘타르보사우루스’로 태어난 나, 점박이의 흥미진진한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친구
들도 함께 떠나지 않을래? 크아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