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두컴컴한 밤. 잠을 자고 있는데 어디선가 낯선 목소리가 들려왔어.
“유진아, 유신아! 나 좀 도와 줘…. 사냥감을 손질해야 하는데 주먹도끼를 잃어버렸어. 너희가 좀 찾아 줄래?”
주먹도끼…? 그게 뭔지 물어보려는데 이미 아저씨는 저 멀리까지 가버린 뒤였어. 근데 온 몸이 털로 덮인 거 있지? 얼굴도 원숭이랑 많이 닮았고 말이야. 그나저나 어디서 아저씨의 주먹도끼를 찾지?

 


주먹도끼를 찾아서

여기저기 알아본 끝에 드디어 주먹도끼가 있는 곳을 찾았어. 바로 지난 25일에 문을 연 전곡선사박물관!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 있는 구석기 유적지에 세워졌는데, 이 곳이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주먹도끼가 발견된 곳이래. 그런데 이 넓은 곳에서 주먹도끼를 어떻게 찾지?

어서 와요. 주먹도끼를 찾고 있다고요?

네! 그런데 이 곳에 정말 주먹도끼가 있나요?

맞아요.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주먹도끼가 이 곳에 있답니다. 지난 1978년 미군 병사가 전곡리에서 발견했지요. 약 30만 년 전인 전기 구석기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아슐리안 주먹도끼’라고 부른답니다. 동아시아에서 유일하다니! 역사적으로 중요하겠네요

물론이에요. 그동안 주먹도끼는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발견됐어요. 이를 근거로 세계학자들은 아시아인은 아프리카나 유럽의 고대인만큼 발달한 문명을 갖지 못했다고 단정 지었지요. 그런데 전곡에서 발견된 주먹도끼가 그 생각을 뒤엎은 거예요. 전곡선사박물관은 주먹도끼를 사용했던 구석기 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보여 주는 곳이랍니다.

구석기 시대를 살다

매머드 턱뼈로 만든 집에 돌로 만든 실로폰이라~. 구석기 시대에 살았어도 재밌었겠는데? 직접 한 번 살아 볼까? 동굴에 그림도 그리고 직접 사냥도 해 보고, 또 동물 가죽으로 옷도 만들어 보는 거야!
 
 

호모 에렉투스를 만나다

주먹도끼도 찾았으니 이제 아저씨만 만나면 되는데….
근데 저 사람, 아저씨 아니야? 털이 복슬복슬하고 원숭이를 많이 닮은 게 딱 아저씬데? 그런데 푯말이 붙어 있네. ‘전기 구석기 시대에 주먹도끼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 그렇다면 고대 인류인 호모 에렉투스?

인류의 진화 과정이 궁금해!

전시장 가운데에 있는 ‘인류 진화의 위대한 행진’에서는 투마이로부터 만달인까지 수백만 년에 걸친 인류의 진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세계적인 고인류복원 전문가 엘리자베스 데이너스가 인류학과 해부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주름과 털까지 생생하게 복원했다.

약 250만 년 전~120만 년 전
큰바위얼굴,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


견과류나 뿌리식물 같이 질기고 거친 음식들을 씹기 위해 턱이 발달했다. 턱 근육을 지탱하기 위해 머리뼈 위에는 근육돌기가 솟아올랐다.

약 9만 5000년~1만 8000년 전
어린 아이 몸집에 어른의 치아, 호모 플로렌시스


키가 1m 정도로 아주 작다.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오랜 기간 진화하면서 적응한 결과로 보인다.

약 4만 5000년~ 4만 3000년 전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화석, 용곡인


북한 평양에서 발견됐으며, 키 167~175㎝로 우리와 비슷한 체격 조건을 가지고 있다. 용곡인을 통해 한반도 후기 구석기 시대 사람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다.

인류의 진화 모습도 살펴보고 구석기 시대도 탐험하고! 친구들도 전곡선사박물관으로 놀러 와~.

전곡선사박물관

국내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지인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문을 열었어요. 주먹도끼는 물론 매머드 뼈로 만든 움집과 동굴 벽화 등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 가죽옷 만들기, 불 피우기, 동물 뼈와 조개를 이용한 장신구 만들기 등 다양한 활동도 직접 체험해 보세요.

● 문의 : 031-830-5600
● 홈페이지 : www.jgpm.or.kr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1년 09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화영 기자
  • 기타

    노유진 명예기자
  • 기타

    강유신 명예기자
  • 사진

    채홍석 수석 디자이너

🎓️ 진로 추천

  • 역사·고고학
  • 문화인류학
  • 교육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