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머…, 우리 결혼식을 축하하러 와 준 거니? 고마워~. 우린 주홍긴날개멸구라고 해. 사진으로 보면 우리가 무척 커 보이지만 사실 우린 몸길이가 4㎜밖에 되지 않는 작은 곤충이야. 우리도 결혼을 하냐고? 물론이야. 우리 같은 곤충들은 겨울을 나기 힘들기 때문에 여름과 가을에 결혼인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아서 겨울을 날 준비를 해야 해. 어머! 저기 다른 곤충들도 멋지게 결혼하고 있어. 내 친구들의 결혼식도 축하해 줄 거지?
우리 사랑은 하트 모양, 실잠자리
우리는 예쁜 하트 모양으로 결혼을 하는 실잠자리야. 수컷이 암컷 머리를 잡으면 암컷이 꼬리를 구부려 하트 모양을 만들면서 짝짓기를 해. 다른 잠자리들도 우리처럼 짝짓기를 하지만 꼬리가 두껍고 짧아서 우리만큼 예쁜 모양을 만들지는 못한단다. 9월에는 우리 실잠자리들의 예쁜 하트를 많이 볼 수 있을 거야!
배와 배를 맞대고, 광대노린재
안녕? 난 색이 화려해서 광대노린재라고 불려. 지금 우리는 배와 배를 맞대고 수컷의 정자를 암컷의 뱃속에 있는 알에 전해 주고 있어. 대부분의 생물들이 이렇게 짝짓기를 하는 이유는 아빠와 엄마의 유전자를 자식에게 전해 주기 위해서야. 아빠와 엄마의 유전자가 반반씩 전해지면 아빠, 엄마와는 다른 유전자를 가진 새끼가 태어나지. 즉, 똑같은 광대노린재라고 하더라도 조금씩 유전자가 다른 광대노린재들이 생기는 거야. 그러면 기생충이나 질병에 더 강해지기 때문에 지구에서 사라지지 않고 더 오래 살아남을 수 있단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2.jpg)
남편? 맞습니다! 섬서구메뚜기
우린 섬서구메뚜기라고 해~. 뭐? 내가 아기를 업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그렇게 생각할 만도 해. 우리 메뚜기들은 대부분 수컷이 암컷보다 작아서 짝짓기를 할 때 아기를 업고 있는 것처럼 보이거든. 특히 암수의 크기 차이가 많이 나는 우리 섬서구메뚜기를 보고 그렇게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지. 하지만 내가 등에 업고 있는 것은 아기가 아니라 남편이란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3.jpg)
음식을 먹어 주오~, 파리매
우리 결혼식을 축하하러 와 줘서 고마워. 우린 파리매라고 해. 이름에 ‘매’자가 들어갈 만큼 재빠르게 곤충을 사냥하는 실력이 일품이란다.
우리들은 결혼을 할 때 수컷 파리매가 사냥한 곤충을 암컷 파리매에게 선물로 준단다. 정말 로맨틱하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4.jpg)
내 한 몸 바쳐! 사마귀
안녕? 난 사마귀야. 우린 암컷 사마귀와 짝짓기를 한 후에 내 몸을 선물로 준단다. 몸을 어디에 쓰냐고? 암컷 사마귀가 맛있게 먹는거야. 물론 운이 좋으면 잡아먹히지 않는 수컷도 있지. 하지만 잡아먹히는 게 꼭 나쁜 것만은 아니야. 암컷 사마귀가 영양분이 많은 내 몸을 먹고 튼튼한 알을 낳아 주거든!
추운 겨울을 나는 사랑의 결실
안녕? 우리는 사마귀 알이야. 엄마 아빠가 짝짓기를 하고 난 뒤 늦가을이 되면, 엄마는 나뭇가지에 알을 낳고 거품같은 알집을 만든단다. 이 거품들은 시간이 지나면 딱딱해지면서 우리를 보호해 줘.
우리는 튼튼한 알집에서 3~4개월 동안 추운 겨울을 지내면서 따뜻한 봄을 기다린단다.
봄이 되면 알집에서 작은 사마귀들이 깨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야. 우리는 알에서 태어날 때부터 어른 사마귀의 모습을 하고 있단다.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기 때문이지. 빨리 봄이 왔으면 좋겠다.
그럼, 우리 내년 봄에 다시 만나자~!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99.jpg)
우리는 예쁜 하트 모양으로 결혼을 하는 실잠자리야. 수컷이 암컷 머리를 잡으면 암컷이 꼬리를 구부려 하트 모양을 만들면서 짝짓기를 해. 다른 잠자리들도 우리처럼 짝짓기를 하지만 꼬리가 두껍고 짧아서 우리만큼 예쁜 모양을 만들지는 못한단다. 9월에는 우리 실잠자리들의 예쁜 하트를 많이 볼 수 있을 거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1.jpg)
안녕? 난 색이 화려해서 광대노린재라고 불려. 지금 우리는 배와 배를 맞대고 수컷의 정자를 암컷의 뱃속에 있는 알에 전해 주고 있어. 대부분의 생물들이 이렇게 짝짓기를 하는 이유는 아빠와 엄마의 유전자를 자식에게 전해 주기 위해서야. 아빠와 엄마의 유전자가 반반씩 전해지면 아빠, 엄마와는 다른 유전자를 가진 새끼가 태어나지. 즉, 똑같은 광대노린재라고 하더라도 조금씩 유전자가 다른 광대노린재들이 생기는 거야. 그러면 기생충이나 질병에 더 강해지기 때문에 지구에서 사라지지 않고 더 오래 살아남을 수 있단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2.jpg)
남편? 맞습니다! 섬서구메뚜기
우린 섬서구메뚜기라고 해~. 뭐? 내가 아기를 업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그렇게 생각할 만도 해. 우리 메뚜기들은 대부분 수컷이 암컷보다 작아서 짝짓기를 할 때 아기를 업고 있는 것처럼 보이거든. 특히 암수의 크기 차이가 많이 나는 우리 섬서구메뚜기를 보고 그렇게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지. 하지만 내가 등에 업고 있는 것은 아기가 아니라 남편이란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3.jpg)
음식을 먹어 주오~, 파리매
우리 결혼식을 축하하러 와 줘서 고마워. 우린 파리매라고 해. 이름에 ‘매’자가 들어갈 만큼 재빠르게 곤충을 사냥하는 실력이 일품이란다.
우리들은 결혼을 할 때 수컷 파리매가 사냥한 곤충을 암컷 파리매에게 선물로 준단다. 정말 로맨틱하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4.jpg)
내 한 몸 바쳐! 사마귀
안녕? 난 사마귀야. 우린 암컷 사마귀와 짝짓기를 한 후에 내 몸을 선물로 준단다. 몸을 어디에 쓰냐고? 암컷 사마귀가 맛있게 먹는거야. 물론 운이 좋으면 잡아먹히지 않는 수컷도 있지. 하지만 잡아먹히는 게 꼭 나쁜 것만은 아니야. 암컷 사마귀가 영양분이 많은 내 몸을 먹고 튼튼한 알을 낳아 주거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5.jpg)
안녕? 우리는 사마귀 알이야. 엄마 아빠가 짝짓기를 하고 난 뒤 늦가을이 되면, 엄마는 나뭇가지에 알을 낳고 거품같은 알집을 만든단다. 이 거품들은 시간이 지나면 딱딱해지면서 우리를 보호해 줘.
우리는 튼튼한 알집에서 3~4개월 동안 추운 겨울을 지내면서 따뜻한 봄을 기다린단다.
봄이 되면 알집에서 작은 사마귀들이 깨어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야. 우리는 알에서 태어날 때부터 어른 사마귀의 모습을 하고 있단다.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기 때문이지. 빨리 봄이 왔으면 좋겠다.
그럼, 우리 내년 봄에 다시 만나자~!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18/C201018N001_img_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