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사각~, 사라락. 안녕하십니까? 기자는 지금 바람에 대나무 잎이 서로 부딪히는 소리가 아름다운 대나무 숲에 와 있습니다. 바로 자이언트
판다를 만나러 왔는데요. 자이언트판다는 세계에서 약 2500마리 정도만 살고 있는 멸종 위기동물입니다. 앗! 저기 대나무를 맛있게 씹어 먹고 있는 자이언트판다가 있군요. 쉿~! 서두르면 안돼요. 자이언트판다는 원래 예민한 성격이거든요. 발꿈치를 들고 살금살금 다가가 인터뷰를 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점심 식사 중인가요? 대나무가 뭐가 그리 맛있나요?
당연히 맛있죠. 제 주식은 대나무인 걸요! 전 하루에 10~12시간 정도는 대나무를 씹고 있어요. 하루 평균12.5kg의 대나무를 먹는답니다. 물론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대나무의 새싹인 죽순이지요. 하지만 죽순이나 대나무가 없을때는 아이리스 같은 식물은 물론 물고기나 쥐를 잡아먹기도 한답니다.
자이언트판다가 쥐를 잡아먹는다고요? 처음 듣는 얘긴데요?
아이고~, 기자가 이렇게 최신 소식에 느려서야! ‘네이처’라는 잡지에서 1월에 발표한 자이언트 판다의 염기서열 분석도 못 보셨나요? 흥미롭게도 저는 유전학적으로 육식동물에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구요! 저도 알고 보면 날카로운 송곳니가 있는 엣지 있는 육식남이랍니다.
띠용~! 자이언트판다가 육식동물에 더 가깝다니…. 그게 정말 사실인가요?
저의 염기서열에는 ‘T1R1’이라는 유전자가 있어요.이 유전자는 고기를 씹을 때 나는 감칠맛인 ‘우아미’를 느끼게 해 주지요. 하지만 저는 이 유전자가 기능을 하지 않아서 고기맛을 느끼지 못한답니다. 심지어 저는 대나무의 섬유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도 적어요. 대신 내장에 사는 미생물이 대나무의 소화를 도와 주지요.
대나무를 먹는 귀여운 자이언트판다의 이미지가 좀 구겨지는 것 같은데요? 기분이 나쁘지는 않나요?
기분이 나쁘긴요! 아주~ 기분이 좋답니다. 이번 연구가 멸종 위기에 놓인 우리 자이언트판다들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하더군요. 우리 자이언트판다들이 대나무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고기를 먹지 않도록 대나무 숲을 지켜 줘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4/C201004N005_img_99.jpg)
판다를 만나러 왔는데요. 자이언트판다는 세계에서 약 2500마리 정도만 살고 있는 멸종 위기동물입니다. 앗! 저기 대나무를 맛있게 씹어 먹고 있는 자이언트판다가 있군요. 쉿~! 서두르면 안돼요. 자이언트판다는 원래 예민한 성격이거든요. 발꿈치를 들고 살금살금 다가가 인터뷰를 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점심 식사 중인가요? 대나무가 뭐가 그리 맛있나요?
당연히 맛있죠. 제 주식은 대나무인 걸요! 전 하루에 10~12시간 정도는 대나무를 씹고 있어요. 하루 평균12.5kg의 대나무를 먹는답니다. 물론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대나무의 새싹인 죽순이지요. 하지만 죽순이나 대나무가 없을때는 아이리스 같은 식물은 물론 물고기나 쥐를 잡아먹기도 한답니다.
자이언트판다가 쥐를 잡아먹는다고요? 처음 듣는 얘긴데요?
아이고~, 기자가 이렇게 최신 소식에 느려서야! ‘네이처’라는 잡지에서 1월에 발표한 자이언트 판다의 염기서열 분석도 못 보셨나요? 흥미롭게도 저는 유전학적으로 육식동물에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구요! 저도 알고 보면 날카로운 송곳니가 있는 엣지 있는 육식남이랍니다.
띠용~! 자이언트판다가 육식동물에 더 가깝다니…. 그게 정말 사실인가요?
저의 염기서열에는 ‘T1R1’이라는 유전자가 있어요.이 유전자는 고기를 씹을 때 나는 감칠맛인 ‘우아미’를 느끼게 해 주지요. 하지만 저는 이 유전자가 기능을 하지 않아서 고기맛을 느끼지 못한답니다. 심지어 저는 대나무의 섬유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도 적어요. 대신 내장에 사는 미생물이 대나무의 소화를 도와 주지요.
대나무를 먹는 귀여운 자이언트판다의 이미지가 좀 구겨지는 것 같은데요? 기분이 나쁘지는 않나요?
기분이 나쁘긴요! 아주~ 기분이 좋답니다. 이번 연구가 멸종 위기에 놓인 우리 자이언트판다들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하더군요. 우리 자이언트판다들이 대나무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고기를 먹지 않도록 대나무 숲을 지켜 줘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004/C201004N005_img_9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