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웅장한 자연 연약한 환경 , 북극

올해는 국제과학연맹과 세계기상기구가 정한 네 번째‘국제 극지의 해(IPY)’예요. 극지는 기후 변화와 같은 지구의 환경 변화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해요. 그래서 전세계가 함께 연구하기 위해 50년 만에 모였지요. 우리도 북극 지역을 탐험해 보면서 장대한 자연과 위기에 처한 환경을 직접 확인해 볼까요? 아, 저기 마침 북극의 상징 북극곰 아저씨가 실룩실룩 엉덩이를 흔들며 지나가고 있어요. 안내를 부탁해 봐야겠어요!
 

북극곰 아저씨의 안내서 1
빙하


“우선 우리가 사는 곳을 살펴볼까? 남극에는 커다란 대륙이 있지만 북극점 부근에는 육지가 없단다. 대신 바다를 덮고 있는 빙하가 있을 뿐이지. 흔히 북극을 의미하는‘북극권’에는 알래스카 같은 대륙의 북쪽 지방과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스발바르 같은 북쪽섬들이 포함되는데, 이 곳에서도 빙하를 볼수 있어.”
 
노르웨이 북쪽 스발바르에 있는 두꺼운 빙하예요. 다섯 개의 섬으로 된 스발바르는 지구에서 가장 북극점에 가까운 지역 중 하나로 꼽혀요. 우리나라의 북극 연구소인 다산기지가 있는 곳도 이 곳 스발바르지요.
 
미국 알래스카 남부 위티어에 있는 계곡빙하예요. 산이나 계곡에 눈이 많이 내리면 눈이 녹지 않고 쌓여 계곡이 빙하로 채워지게 돼요. 계곡을 채운 빙하는 1년에 2m에서 4㎞ 정도의 속도로 느릿느릿 바다로 흘러간답니다.


북극곰 아저씨의 안내서 2
이누이트와 북극의 포유류


“춥고 육지도 없는 곳이지만 그린란드와 알래스카 등 북극권에 속하는 여러 지역에도 사람이 살아. 흔히 에스키모라고 부르는 ‘이누이트’지. 이누이트는 고래를 잡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식량을 구한단다. 참, 북극에서는 우리 북극곰과 순록 같은 포유류도 만날 수 있어.”
 
고래잡이는 이누이트 마을의 전통에 따라 매년 봄과 가을에 이루어져요. 이 때를 맞춰 북극곰도 고래 고기를 먹으러 어슬렁어슬렁 나타나요.
 
스발바르에 사는 순록이에요. 북극권의 저지대는 이끼 종류가 주로 사는‘툰드라’지역이에요. 날씨가 추워서 툰드라 아래의 땅은 늘 얼어있고 여름이 되어야 표면만 살짝 녹지요. 영원히 얼어 있다는 뜻으로 ‘영구 동토층’이라고 부르는 이 곳에서는 먹을 것을 충분히 구할 수 없어요. 그래서 순록은 여름 동안 먹이를 먹고 지방을 최대 10㎏까지 축적해 1년을 버틴답니다.

북극곰 아저씨의 안내서 3
화산


“날씨가 추운 북극이지만 북극권의 땅 속에는 열이 가득하지. 특히 알래스카 서쪽 끝에 있는 열도는 환태평양 화산대의 북쪽 경계로 지금도 폭발을 계속하는 활화산이야.”
 
화산에서 분출된 분진이 주변의 강과 폭포를 완전히 뒤덮은 모습이에요. 4년 전 찍은 사진(아래)과 비교하면 차이를 알 수 있지요.(사진제공/알래스카 화산관측소 지질및지구물리분과 자넷 셰퍼)
 
오크모크 화산이 폭발하는 장면을 가까이에서 봤어요. 회색 분진이 빠른 속도로 뿜어져 나오는 모습이 보여요.(사진제공/알래스카 페어뱅크대학교 지구물리연구소 제시카 라슨)

북극곰 아저씨의 안내서 4
기상과 오로라


“마지막으로 볼 자연 현상은 북극권의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이야. 밤 하늘을 수놓는 아름다운 오로라는 극지방의 상징이란다.”
 
오로라는 북위 60도에서 80도 사이의 지역에서 볼 수 있어요. 태양에서 전기를 띤 입자가 날아와 대기 속에서 공기 분자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에요.


북극권이란?

북극권은 보통 북위 66도 33분보다 북쪽 지역을 가리킨다. 이 지역에서는 여름 세 달 동안 밤이 되어도 해가 지지 않는‘백야’현상이 나타나고, 반대로 겨울 세달 동안은 종일 해가 뜨지 않는다. 캐나다와 러시아, 미국 알래스카의 북쪽 지역, 노르웨이 북쪽 해안,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등이 포함된다. 북극권을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10℃를 넘지 않는 지역’으로 정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알래스카 남단까지가 북극권이 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8년 17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윤신영 기자
  • 도움

    김성중 책임연구원
  • 도움

    김장근 소장
  • 도움

    예담 <어디에도 없는 그곳 노웨어>
  • 사진

    남종영 기자
  • 사진

    최명애 기자
  • 사진

    안형준 기자

🎓️ 진로 추천

  • 기상학·대기과학
  • 환경학·환경공학
  • 도시·지역·지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