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분한 일상에서 벗어나 재미있고 신나는 세계로 잠시 들어가 볼 수 있는 게임. 게임 속에서는 춤 잘 추는 댄서도, 마술을 부리는 마법사도, 바람처럼 달리는 레이서도, 백전백승의 운동선수도 될 수 있지요. 하지만 게임은 게임일 뿐이라는 사실을 잊고 현실 세계를 엉망으로 망가트리는 친구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왜 그렇게 게임에 깊이 빠져드는 걸까요? 게임을 좋아하는 나도 혹시 게임중독인 건 아닐까요? 게임중독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이 모든 질문의 해답을 찾으면‘건강한 게임 즐기기’클리어!
게임 뭐가 나빠?
게임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실력도 늘고, 다양한 사람들도 만날 수 있어요. 또 지루한 시간을 재미있게 보내고, 스트레스도 없앨 수 있지요. 왜 어른들은 이런 재미있는 게임을 못 하게 하는 걸까요? 게임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가장 궁금한 점일 거예요. 어른들이 게임을 못 하게 하는 이유는 바로 게임이 친구들에게 미치는 나쁜 영향 때문이랍니다. 게임이 도대체 뭐가 나쁘기에 못 하게 하는 걸까요?
게임, 이래서 나빠!
➊ 뇌가 한창 성장하는 시기에 게임을 오래하는 것은 뇌의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특히 게임에 중독되면 흥분하게 만드는 신경 전달물질이 많이 나와서 뇌의 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지. 쉽게 말해서 머리가 나빠진다고 보면 돼.
➋ 게임을 오래하다 보면 현실감이 적어지고 실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에 흥미를 잃을 수 있어. 또 잘 참지 못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잘 고려하지 않게 돼. 이렇게 된다면 친구들이 날 싫어하게 되겠지?
➌ 게임을 하면서 많이 이기고 게임을 잘 끝내면 자신감이 더 생길 것 같지만 그렇지 않아. 게임을 많이
하는 친구일수록 실제 생활에서는 자신감이 떨어지고 혼자 있으려는 경향이 나타난대.
➍ 공격적인 게임을 많이 하면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돼. 실제로 폭력적인 게임을 하다가 부모님이나 친구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사건도 발생하잖아. 게임도 골라서 해야 돼.
➎ 게임을 많이 하다 보면 손목이나 목이 아플 때가 있지? 잠을 자지 않고 게임을 했던 적도 있을 거야. 얼마나 건강이 나빠지겠니. 또 계속 앉아서 게임을 하고 거기다 간식도 많이 먹잖아. 그래서 게임 때문에 비만이 되기도 해.
중독도 레벨업 된다
중독이란 어떤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고 반복하게 되며, 점점 더 큰 자극을 원하게 되고, 자극을 얻지 못하면 불안하고 초조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게임중독 역시 게임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고 게임을 하는 시간을 조절하지 못 하게 되며 게임을 못 할 때는 불안하고 초조해지지요. 이런 게임 중독은 3단계를 거치며 일어난다고 해요. 게임중독, 어떤 단계로 일어날까요?
1단계
관심 있는 사이트나 게임을 찾아가는 과정. 다양한 게임 중 가장 재미있는 게임을 골라 계속해서 접속하게 된다.
2단계
게임을 통해 대리만족을 하기 시작한다. 게임을 통해 현실에서 찾을 수 없는 즐거움을 찾게 된다. 게임을 통해 공격적인 성향을 해소하거나 게임의 승리, 고수가 되는 것 등을 통해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낀다. 게임의 익명성을 통해 자신과 전혀 다른 또 다른 나를 만들어 만족을 느끼기도 한다.
3단계
현실을 탈출하기 시작한다. 게임을 통한 대리만족을 얻기 위해 더 자주, 더 오래 게임을 하게 되고 게임을 할 때가 가장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도 혹시 게임 중독?
게임이 너무 재미있는 나도 게임중독인 것은 아닐까요? 혹시 가족이나 친구 중 게임중독이 아닐까 걱정되는 사람이 있지 않나요? 게임에 중독된 것인지 아닌지 진단을 통해 알아보아요. 별로 그렇지 않은 것 같으면 1점, 정말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5점으로 점수를 매기면 됩니다. 한번 체크해 볼까요?
게임중독 진단해보기
20-49점 : 정상적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요.
50-79점 : 자칫 잘못하면 게임에 중독될 수 있어요. 매우 조심해야 해요.
80점 이상 : 이미 게임에 중독되었어요. 치료가 필요합니다.
게임에 중독이 되었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그깟 게임, 맘만 먹으면 안 할 수 있어’라고 생각할 수도있어요. 하지만 중독이라는 것은 이미 스스로의 힘으로는 끊기 힘든 것으로 그 자체가 병이랍니다. 특히 게
임중독은 하나의 증상에 불과하고 그 원인은 우울증이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같은 다른 정신장애일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런 장애들을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게임중독은 행동요법, 심리치료, 가족치료 등으로 치료한답니다. 병원에서 치료 받을 정도는 아니지만 게임중독이 걱
정되는 친구들은 이렇게 한번 해 보세요.
세브란스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님이 알려 주는 게임중독 탈출하기
게임에 중독되지 않으려면…
▶게임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게임이 하고 싶다면 매일 조금씩 하기보다는 일주일에 한 번 시간을 지정해 놓고 하는 것이 좋아요.
▶게임을 할 때는 혼자서 하기보다는 친구나 가족과 함께 하세요.
▶게임을 하게 되는 시간에 친구들과 어울려 놀거나 운동을 해 보세요.
▶컴퓨터를 거실과 같은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곳으로 옮기세요.
▶게임을 해서 얻는 것과 잃는 것에 대해 적어 비교해 보세요.
▶컴퓨터 앞에서 절대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하세요.
엄마, 아빠 읽어 보세요
게임중독, 부모님이 중요!
게임중독의 예방은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 혼자서는 자신을 조절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입
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해 주어야 게임중독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아이의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게임중독 예방법
①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아이의 행동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아이가 계속 피곤해 하거나 잠이 부족해 할 때, 집중력이 떨어지고 짜증이나 반항이 늘 때, 인터넷 용어를 자주 말할 때는 게임중독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② 무턱대고 게임을 못 하게 하는 것은 아이와 감정이 틀어지고 몰래 게임을 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더라도 부모의 통제 속에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부모들도 컴퓨터를 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너무 자주 보여 주는 것은 아닌지 체크해 보아야 합니다. 부모가 사이버 증권이나 쇼핑, 게임에 중독되어 아이들 또한 게임에 중독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④ 아이에게 게임 대신 TV나 비디오를 보게 해 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게임에 중독된 아이라면 미디어에도 쉽게 중독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뛰어놀거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해 주세요. 만화책도 좋습니다.
⑤ 요즘 아이들은 게임이 아니면 놀 수 있는 것이 없어서 게임에 매달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 대신 친구들과 놀 수 있도록 친구들과 놀이공원을 가거나 함께 운동을 다니거나, 친구네 집에서 자며 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게 해 주는 등 친구들과 어울려 놀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⑥ 아이가 게임에 중독이 되었다면 부모와 약속을 하더라도 지키지 못합니다. 이미 스스로의 뇌를 조절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지만 중독이 의심된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게임 뭐가 나빠?
게임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실력도 늘고, 다양한 사람들도 만날 수 있어요. 또 지루한 시간을 재미있게 보내고, 스트레스도 없앨 수 있지요. 왜 어른들은 이런 재미있는 게임을 못 하게 하는 걸까요? 게임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가장 궁금한 점일 거예요. 어른들이 게임을 못 하게 하는 이유는 바로 게임이 친구들에게 미치는 나쁜 영향 때문이랍니다. 게임이 도대체 뭐가 나쁘기에 못 하게 하는 걸까요?
게임, 이래서 나빠!
➊ 뇌가 한창 성장하는 시기에 게임을 오래하는 것은 뇌의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특히 게임에 중독되면 흥분하게 만드는 신경 전달물질이 많이 나와서 뇌의 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지. 쉽게 말해서 머리가 나빠진다고 보면 돼.
➋ 게임을 오래하다 보면 현실감이 적어지고 실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에 흥미를 잃을 수 있어. 또 잘 참지 못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잘 고려하지 않게 돼. 이렇게 된다면 친구들이 날 싫어하게 되겠지?
➌ 게임을 하면서 많이 이기고 게임을 잘 끝내면 자신감이 더 생길 것 같지만 그렇지 않아. 게임을 많이
하는 친구일수록 실제 생활에서는 자신감이 떨어지고 혼자 있으려는 경향이 나타난대.
➍ 공격적인 게임을 많이 하면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돼. 실제로 폭력적인 게임을 하다가 부모님이나 친구들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사건도 발생하잖아. 게임도 골라서 해야 돼.
➎ 게임을 많이 하다 보면 손목이나 목이 아플 때가 있지? 잠을 자지 않고 게임을 했던 적도 있을 거야. 얼마나 건강이 나빠지겠니. 또 계속 앉아서 게임을 하고 거기다 간식도 많이 먹잖아. 그래서 게임 때문에 비만이 되기도 해.
중독도 레벨업 된다
중독이란 어떤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고 반복하게 되며, 점점 더 큰 자극을 원하게 되고, 자극을 얻지 못하면 불안하고 초조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게임중독 역시 게임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고 게임을 하는 시간을 조절하지 못 하게 되며 게임을 못 할 때는 불안하고 초조해지지요. 이런 게임 중독은 3단계를 거치며 일어난다고 해요. 게임중독, 어떤 단계로 일어날까요?
1단계
관심 있는 사이트나 게임을 찾아가는 과정. 다양한 게임 중 가장 재미있는 게임을 골라 계속해서 접속하게 된다.
2단계
게임을 통해 대리만족을 하기 시작한다. 게임을 통해 현실에서 찾을 수 없는 즐거움을 찾게 된다. 게임을 통해 공격적인 성향을 해소하거나 게임의 승리, 고수가 되는 것 등을 통해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낀다. 게임의 익명성을 통해 자신과 전혀 다른 또 다른 나를 만들어 만족을 느끼기도 한다.
3단계
현실을 탈출하기 시작한다. 게임을 통한 대리만족을 얻기 위해 더 자주, 더 오래 게임을 하게 되고 게임을 할 때가 가장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도 혹시 게임 중독?
게임이 너무 재미있는 나도 게임중독인 것은 아닐까요? 혹시 가족이나 친구 중 게임중독이 아닐까 걱정되는 사람이 있지 않나요? 게임에 중독된 것인지 아닌지 진단을 통해 알아보아요. 별로 그렇지 않은 것 같으면 1점, 정말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5점으로 점수를 매기면 됩니다. 한번 체크해 볼까요?
게임중독 진단해보기
20-49점 : 정상적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요.
50-79점 : 자칫 잘못하면 게임에 중독될 수 있어요. 매우 조심해야 해요.
80점 이상 : 이미 게임에 중독되었어요. 치료가 필요합니다.
게임에 중독이 되었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그깟 게임, 맘만 먹으면 안 할 수 있어’라고 생각할 수도있어요. 하지만 중독이라는 것은 이미 스스로의 힘으로는 끊기 힘든 것으로 그 자체가 병이랍니다. 특히 게
임중독은 하나의 증상에 불과하고 그 원인은 우울증이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같은 다른 정신장애일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이런 장애들을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게임중독은 행동요법, 심리치료, 가족치료 등으로 치료한답니다. 병원에서 치료 받을 정도는 아니지만 게임중독이 걱
정되는 친구들은 이렇게 한번 해 보세요.
세브란스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님이 알려 주는 게임중독 탈출하기
게임에 중독되지 않으려면…
▶게임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게임이 하고 싶다면 매일 조금씩 하기보다는 일주일에 한 번 시간을 지정해 놓고 하는 것이 좋아요.
▶게임을 할 때는 혼자서 하기보다는 친구나 가족과 함께 하세요.
▶게임을 하게 되는 시간에 친구들과 어울려 놀거나 운동을 해 보세요.
▶컴퓨터를 거실과 같은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곳으로 옮기세요.
▶게임을 해서 얻는 것과 잃는 것에 대해 적어 비교해 보세요.
▶컴퓨터 앞에서 절대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하세요.
엄마, 아빠 읽어 보세요
게임중독, 부모님이 중요!
게임중독의 예방은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 혼자서는 자신을 조절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입
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해 주어야 게임중독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아이의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게임중독 예방법
①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아이의 행동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아이가 계속 피곤해 하거나 잠이 부족해 할 때, 집중력이 떨어지고 짜증이나 반항이 늘 때, 인터넷 용어를 자주 말할 때는 게임중독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② 무턱대고 게임을 못 하게 하는 것은 아이와 감정이 틀어지고 몰래 게임을 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더라도 부모의 통제 속에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부모들도 컴퓨터를 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너무 자주 보여 주는 것은 아닌지 체크해 보아야 합니다. 부모가 사이버 증권이나 쇼핑, 게임에 중독되어 아이들 또한 게임에 중독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④ 아이에게 게임 대신 TV나 비디오를 보게 해 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게임에 중독된 아이라면 미디어에도 쉽게 중독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뛰어놀거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해 주세요. 만화책도 좋습니다.
⑤ 요즘 아이들은 게임이 아니면 놀 수 있는 것이 없어서 게임에 매달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 대신 친구들과 놀 수 있도록 친구들과 놀이공원을 가거나 함께 운동을 다니거나, 친구네 집에서 자며 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게 해 주는 등 친구들과 어울려 놀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⑥ 아이가 게임에 중독이 되었다면 부모와 약속을 하더라도 지키지 못합니다. 이미 스스로의 뇌를 조절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지만 중독이 의심된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지혜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