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빼앗기 위해 나쁜짓을 일삼는 악당‘아이드리 시러이’가 일을 벌였다. 동화마을의‘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이야기를 뒤죽박죽 만들어 놓은 것. 이 사건을 해결할 사람은 퍼즐탐정 썰렁홈즈뿐이다. 만약 뒤죽박죽 되어 버린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이야기를 제대로 돌려놓지 않으면 이대로 세상의 동화가 엉망이 되어 버릴 지경이었다. 위기에 처한 동화나라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이야기를 썰렁홈즈가 되돌려 놓을 수 있을까?

mission 1 깨진 거울의 조각은 무엇?

첫 번째 일어난 사건은 백설공주의 계모인 왕비의 마법 거울에 관한 것이다.“거울아, 거울아, 세상에서 누가 가장 예쁘지?”라는 왕비의 질문에 답을 하기도 전에 마법거울이 사고를 당했다. 누군가가 일부러 돌을 던져 깨뜨린 것이다. 끝까지 자기의 소신을 버리지 않고 바른 말만 했던 착한 마법거울이 그만 산산 조각나 버렸다. 떨어진 조각을 맞춰 다시 거울을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그 조각에 다른 조각이 섞여 있다는 것이다. 다음의 조각들 중에서 맞지 않는 조각이 어떤 것인지 골라보자.

 


mission 2 뒤섞인 독사과를 찾아라!

부랴부랴 거울 조각을 맞춰 왕비는 거울에게 물어 볼 수 있었다. “거울아 ~, 누가 세상에서 가장 예쁘지? 물론 나겠지만 말야~”왕비의 자신감 있는 질문에 마법거울은 찬물을 끼얹었다.“말씀드리기 죄송하지만 백설공주가 가장 예쁩니다.”화가 난 왕비는 백설공주를 찾아가 독이 든 사과를 먹이려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독이 든 사과가 문제였다. 백설공주에게 먹이려고 준비한 사과를 누군가 한 바구니에 한꺼번에 담아놓은 것이었다. 다음 중 진짜 독이 든 사과는 어떤 것일까?


 

mission 3 여덟 난쟁이 중 가짜는 누구?

독이 든 사과를 찾아 낸 왕비는 백설공주에게 찾아가 독이 든 사과를 건네주었다. 물론 산 속에서 살았던 백설공주는 동화의 이야기대로 사과를 먹고 쓰러진다. 그리고 독이 든 사과를 먹은 백설공주는 침대에 누워 왕자를 기다린다. 이 때 백설공주의 안전을 책임질 보디가드가 바로 일곱난쟁이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일곱 명이어야 하는 난쟁이가 모두 여덟 명인 것이다. 앞에 있는 물건들이 일곱 난쟁이의 물건이라면 이런 물건이 없는 한 사람의 가짜 난쟁이를 찾아라!


 

mission 4 누가 백설공주의 왕자인가?

이번에는 더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 백설공주를 살려 낼 왕자가 무려 네 명이나 나타난 것. 네 명의 왕자들은 서로 자기가 진짜라고 우기며 싸우고 있다. 물론 나머지 세 명의 왕자는 악당‘아이드리 시러이’가 보낸 가짜 왕자였다. 백설공주에게는 여러 명의 왕자가 있다는 것이 행복한 일이지만 백설공주 이야기에서는 단 한 사람의 왕자만 필요하다. 네 명의 왕자들이 하는 말을 잘 들어보자. 세 명의 말은 거짓이고 한 사람만 참말을 하는 진짜 왕자다. 과연 진짜는 누구일까?

 

썰렁홈즈의 정답

첫 번째 문제의 정답


여러 가지 거울 조각을 잘 관찰해 보자. 떨어져 나온 거울 조각 중에서 4번 조각은 거울의 어느 부분에도 맞지 않는다. 정답은 ④번. 돌아온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두 번째 문제의 정답

썰렁홈즈가 들고 있는 사진의 사과 모양을 잘 살펴보자. 사과 바구니에 들어 있는 사과 중에서 ○표를 한 사과가 독사과다.

세 번째 문제의 정답

앞에 놓인 모자의 모양을 하나씩 비교해 보면서 맞춰 보자. 여섯 번째 난쟁이의 모자는 없다. 정답은 ⑥번.

네 번째 문제의 정답

정답은 아주 간단하다. 네 명의 왕자 중에서 세사람은 거짓말을 하고 한 사람만 참말을 한다고 했다. 정답은 ④번.



 


돌아온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깨졌던 마법거울을 다시 맞추고, 독사과도 찾아 냈다. 백설공주를 지키는 난쟁이 중의 가짜는 동화나라 경찰에게 붙잡혀 갔다. 다시 되돌아온 백설공주 이야기. 하지만 이번 사건을 일으킨 악당‘아이드리 시러이’ 를 붙잡지는 못했다. 소문에 의하면 또 다른 음모를 꾸민다고 하는데…. 동화나라 이야기를 지키기 위한 썰렁홈즈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6년 0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김원섭 기자
  • 진행

    김석

🎓️ 진로 추천

  • 문화콘텐츠학
  • 문예창작
  • 미술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