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티티우스-보데의 법칙^티티우스-보데의 법칙에 따른 수열과 태양-행성간 거리를 비교해 보았다. 수성에서 천왕성까지는 근사치로 맞지만, 해왕성과 명왕성에서는 차이가 크다. 이 법칙이 소행성의 발견에 도움을 준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천문학자들은 흥미 있는 숫자놀음일 뿐, 행성들의 배치를 정확히 설명하는 법칙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소행성의 영어이름 Asteroid에는 '별과같은'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다른 행성처럼 태양 주위를 돌지만 크기가 너무 작아 망원경으로 보아도 크게 보이지 않고 희미한 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근래 나온 몇 편의 SF영화에서 묘사된 소행성은 지구를 파괴하는 무서운 괴물로 그려진다. 물론 지름 수㎞의 작은 소행성이라도 지구와 충돌할 떄의 충격은 ...(계속)
글 : 김동훈
글 : 김지현 안성천문대
과학동아 1999년 09호
글 : 김지현 안성천문대
과학동아 1999년 0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