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영양소 균형잡힌 전통식단 첩반상

(표1) 한국 전통표준식단 첩반상의 구성과 영양가 분석(표1) 한국 전통표준식단 첩반상의 구성과 영양가 분석

우리의 전통식단은 조선중엽부터 첩반상의 형태로 표현화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시의전서(是議全書)'에는 우리의 전통 표준식단인 첩반상의 구성이 자세히 기술돼 있으며, 밥상에 차려 놓는 방법까지 그려져 있다. 첩반상의 구성은 밥 국(찌개) 김치를 기본으로 하며 여기에 첨가되는 요리접시의 수에 따라 3첩반상 5첩반상 7첩...(계속)

글 : 동아일보사 편집부

과학동아 1995년 0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95년 0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