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자동자의 자기증식^하나의 폐쇄된 사각형에서 싹이 나와 성장한다. 종국에는 8과 같은 공간구조를 이룬다. 자기증식에 의해 질서가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인공생명 모델이다.
질서와 혼돈 사이에 완벽한 평형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생명의 복잡성이 비롯된다. 혼돈의 가장자리는 복잡성의 과학을 상징하는 용어로 자리잡았다.살아있는 세포, 사람의 뇌 그리고 증권거래소. 이들은 과학적 주제로서 공통점이 없는 듯하지만 복잡성 과학(science of complexity)의 이론가들은 적어도 두가지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첫째...(계속)
글 : 이인식 과학평론가
과학동아 1994년 05호
과학동아 1994년 0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