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외계인은 존재할까

충분히 존재한다, 다만 알지 못할 뿐

이것이 우주로 보내는 메시지^메시지는 상단의 숫자처럼 0과 1로 코드화된 신호로 보내진다. 정보는 1천6백79단어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두개의 소수(素數)73×23으로 곱한 수다. 73행,23코마로 구성되는 코드 신호를 기초로 도형을 재현시키는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그림은 (밑에서 위로) 전파망원경, 태양과 행성계, 인간의 모양, 디옥시리보 핵산의 이중나선, 디옥시리보 핵산의 분자성분의 화학식을 나타낸것.이것이 우주로 보내는 메시지^메시지는 상단의 숫자처럼 0과 1로 코드화된 신호로 보내진다. 정보는 1천6백79단어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두개의 소수(素數)73×23으로 곱한 수다. 73행,23코마로 구성되는 코드 신호를 기초로 도형을 재현시키는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그림은 (밑에서 위로) 전파망원경, 태양과 행성계, 인간의 모양, 디옥시리보 핵산의 이중나선, 디옥시리보 핵산의 분자성분의 화학식을 나타낸것.

언젠가는 외계문명체가 발견될 것이다. 외계문명이 없다는 가정은 밀밭에 밀이 하나만 자라고 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우주 어느 곳에 우리 인간과 같이 고등 문명을 가진 생명체가 존재 할 것인가? 만일 존재한다면 그들도 우리와 같이 하늘을 올려다 보며 '다른 문명체가 있을 것인가'하고 생각에 잠길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우리 보다...(계속)

글 : 민영기 경희대·천문학

과학동아 1986년 03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86년 03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