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떼 최적화 알고리즘은 개미가 집으로 돌아올 때 페로몬을 분비하는 데서 착안한 알고리즘이다.
체스를 하다 보면 기사의 습격에 뜻밖의 패배를 당하기도 한다. 다른 말들이 좌표평면과 같은 체스판에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움직이는데 반해 기사는 L자 모양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사만 움직여서 체스판의 64개 정사각형을 모두 밟을 수 있을까?최근 영국 노팅엄 대의 그레이엄 켄달 박사가 수학자들에게 ‘기사의 여행&rsquo...(계속)
글 : 최지호(daniel@donga.com)
사진 : 위키미디어
수학동아 2014년 03호
사진 : 위키미디어
수학동아 2014년 0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