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에너지자원은 꾸준한 관심을 받았다. 석유나 석탄 등이 고갈되면서 새로운 에너지자원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 이를 연구하는 에너지자원공학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에너지자원공학이 뭐죠?
지하자원에는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금속과 비금속으로 나뉘는 석·광물자원이 있다.
에너지자원공학에서는 지하자원을 탐사하고 개발해 유용한 자원을 추출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뿐만 아니라 자원 공급과 수요의 경제적, 환경적 측면도 함께 다룬다.
즉,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지하자원과 대체에너지 자원을 조사 및 탐사하고 이것을 개발해 활용한 뒤 재활용하는 전 과정에서 경제성과 환경문제를 다루는 분야다.
2 어디에 사용되나요?
에너지자원공학자는 광물을 탐사해 개발하거나 추출해 여러 산업분야와 실생활에 직접 이용하도록 한다. 석유 및 가스, 지열, 석탄과 같은 에너지자원을 탐사하고 개발 및 채취할 때 에너지자원공학자가 활약하기도 한다.
이런 에너지자원은 가정 및 산업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3 어디에 있어요?
우리나라에는 도 하나당 한 개 이상의 자원공학과가 있다. 전라남도에는 전남대, 조선대, 전라북도의 전북대, 경상남도의 동아대와 부경대, 충청도 지역에 청주대학교, 강원도에는 강원대학교, 서울지역에는 서울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세종대학교 등에 자원공학과가 있다.
해외에는 미국이나 호주, 캐나다, 영국과 유럽 대륙에 자원 관련 학과가 많다. 이외에 광산이나 석유관련 학과 등 자원 개발과 관련 있는 에너지 자원 및 광물자원 관련 학과가 있다.
4 뭘 배우나요?
자원의 탐사에 대한 과목을 배운다. 크게 물리 탐사와 지구과학 탐사로 나뉜다. 또한 자원 지질을 배운다. 자원 개발을 주로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개발공학이나 암석역학을 배운다. 자원 처리와 관련된 분야에서는 광물처리, 자원 재활용 관련 과목을 배운다.
이밖에도 석유나 가스에 대한 석유공학, 가스공학과 자원의 경제성 문제를 다루는 자원경제, 자원을 개발할 때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다루는 광해(광산 개발로 인한 환경 피해)방지 환경공학이나 환경 지구화학, 자원 환경 경제 등의 과목들이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Editor/2011/11/10032148124ecb2e811e58a.jpg)
[국내·외에서 희유금속 확보전이 한창이다. 사진은 캐나다에 있는 니오븀(희유금속의 한 종류) 광산.]
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
지구를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지구과학을 반드시 공부해야한다. 물론 일반적인 과학 과목인 물리와 화학, 생물에 대한 소양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고도의 기술과 학문을 배우기 위한 기초에 해당하는 수학과 통계학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6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요?
현재 서울대학교의 에너지자원공학관련 대학원은 크게 여섯 분야로 나뉜다. 물리 탐사, 응용지구과학 및 지질 공학 분야, 암반 공학 분야, 광물 처리 및 자원 재활용 분야, 석유 및 가스 공학 분야, 자원 환경 경제 분야다. 각 분야에는 1~3명의 교수님이 연구를 하고 있다. 교수님에 따라서 연구 방향이 조금씩 다르지만 큰 틀은 같다. 현재 약 100여 명의 석·박사가 연구하고 있다.
7 취업을 선택하면요?
산업 수요가 매년 급증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국가기관과 함께 연구하거나 산학협력을 하는 경우가 많다. 분야별로 한국연구재단, 정부 기관이나 정부 투자기관, 산업체 또는 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연구를 통해 여러 과제를 수행한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Editor/2011/11/2971427964ecb2ee5d170b.jpg)
1 에너지자원공학이 뭐죠?
지하자원에는 석유와 석탄, 천연가스,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금속과 비금속으로 나뉘는 석·광물자원이 있다.
에너지자원공학에서는 지하자원을 탐사하고 개발해 유용한 자원을 추출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뿐만 아니라 자원 공급과 수요의 경제적, 환경적 측면도 함께 다룬다.
즉,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지하자원과 대체에너지 자원을 조사 및 탐사하고 이것을 개발해 활용한 뒤 재활용하는 전 과정에서 경제성과 환경문제를 다루는 분야다.
2 어디에 사용되나요?
에너지자원공학자는 광물을 탐사해 개발하거나 추출해 여러 산업분야와 실생활에 직접 이용하도록 한다. 석유 및 가스, 지열, 석탄과 같은 에너지자원을 탐사하고 개발 및 채취할 때 에너지자원공학자가 활약하기도 한다.
이런 에너지자원은 가정 및 산업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3 어디에 있어요?
우리나라에는 도 하나당 한 개 이상의 자원공학과가 있다. 전라남도에는 전남대, 조선대, 전라북도의 전북대, 경상남도의 동아대와 부경대, 충청도 지역에 청주대학교, 강원도에는 강원대학교, 서울지역에는 서울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세종대학교 등에 자원공학과가 있다.
해외에는 미국이나 호주, 캐나다, 영국과 유럽 대륙에 자원 관련 학과가 많다. 이외에 광산이나 석유관련 학과 등 자원 개발과 관련 있는 에너지 자원 및 광물자원 관련 학과가 있다.
4 뭘 배우나요?
자원의 탐사에 대한 과목을 배운다. 크게 물리 탐사와 지구과학 탐사로 나뉜다. 또한 자원 지질을 배운다. 자원 개발을 주로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개발공학이나 암석역학을 배운다. 자원 처리와 관련된 분야에서는 광물처리, 자원 재활용 관련 과목을 배운다.
이밖에도 석유나 가스에 대한 석유공학, 가스공학과 자원의 경제성 문제를 다루는 자원경제, 자원을 개발할 때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다루는 광해(광산 개발로 인한 환경 피해)방지 환경공학이나 환경 지구화학, 자원 환경 경제 등의 과목들이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Editor/2011/11/10032148124ecb2e811e58a.jpg)
[국내·외에서 희유금속 확보전이 한창이다. 사진은 캐나다에 있는 니오븀(희유금속의 한 종류) 광산.]
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
지구를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지구과학을 반드시 공부해야한다. 물론 일반적인 과학 과목인 물리와 화학, 생물에 대한 소양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고도의 기술과 학문을 배우기 위한 기초에 해당하는 수학과 통계학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6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요?
현재 서울대학교의 에너지자원공학관련 대학원은 크게 여섯 분야로 나뉜다. 물리 탐사, 응용지구과학 및 지질 공학 분야, 암반 공학 분야, 광물 처리 및 자원 재활용 분야, 석유 및 가스 공학 분야, 자원 환경 경제 분야다. 각 분야에는 1~3명의 교수님이 연구를 하고 있다. 교수님에 따라서 연구 방향이 조금씩 다르지만 큰 틀은 같다. 현재 약 100여 명의 석·박사가 연구하고 있다.
7 취업을 선택하면요?
산업 수요가 매년 급증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국가기관과 함께 연구하거나 산학협력을 하는 경우가 많다. 분야별로 한국연구재단, 정부 기관이나 정부 투자기관, 산업체 또는 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연구를 통해 여러 과제를 수행한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Editor/2011/11/2971427964ecb2ee5d170b.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