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도 3차원으로 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달궤도탐사선(LR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달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2월 17일 NASA의 고다드 우주항공센터는 레이저빔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정교하게 측정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달의 입체지도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달 지형을 입체로 측정하는 데는 달궤도탐사선에 실려 있는 레이저가 쓰였다. 연구팀은 달을 향해 5가닥의 레이저 광선을 발사했다. 달궤도탐사선은 레이저 광선이 반사돼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형의 높이를 알아냈다. 고다드 우주항공센터의 그레고리 뉴먼 박사는 “1년 동안 수집해 30억 개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새 지도는 기존 지도보다 담고 있는 면적이 넓고 정확하다. 지금까지는 달 지도의 오차가 최대 10km 당 1km 정도였다. 연구팀은 표면의 위치 오차는 10km당 30m, 높이 오차는 10km 당 1m까지 줄였다.
지금까지는 그림자에 가릴 때가 많아 자세히 볼 수 없었던 달의 극지 환경도 알 수 있게 됐다. 달궤도탐사선은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극지를 더 많이 지난다.
뉴먼 박사는 “앞으로 2년 동안 관측을 계속할 예정”이라며 “달 극지에서 GPS수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달궤도탐사선(LR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달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12월 17일 NASA의 고다드 우주항공센터는 레이저빔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정교하게 측정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달의 입체지도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달 지형을 입체로 측정하는 데는 달궤도탐사선에 실려 있는 레이저가 쓰였다. 연구팀은 달을 향해 5가닥의 레이저 광선을 발사했다. 달궤도탐사선은 레이저 광선이 반사돼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형의 높이를 알아냈다. 고다드 우주항공센터의 그레고리 뉴먼 박사는 “1년 동안 수집해 30억 개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새 지도는 기존 지도보다 담고 있는 면적이 넓고 정확하다. 지금까지는 달 지도의 오차가 최대 10km 당 1km 정도였다. 연구팀은 표면의 위치 오차는 10km당 30m, 높이 오차는 10km 당 1m까지 줄였다.
지금까지는 그림자에 가릴 때가 많아 자세히 볼 수 없었던 달의 극지 환경도 알 수 있게 됐다. 달궤도탐사선은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극지를 더 많이 지난다.
뉴먼 박사는 “앞으로 2년 동안 관측을 계속할 예정”이라며 “달 극지에서 GPS수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