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LED Lights Light the Future

Beyond English

● Check Point
최근 백열등과 형광등을 대체할 조명기술로 새롭게 주목받는 LED 전등에 대해 알아보자.

1998년부터 ‘World View Pro’라는 인터넷 칼럼을 발간해 수많은 독자들에게 한국의 기존 언론이 다루지 않는 바깥 세계의 정보를 제공했다. 현재 인터넷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The next time you flick on a light switch, consider this: about one-fifth of the world’s electricity is used for lighting, and most of it is squandered. Traditional incandescent light bulbs invented more than a century ago remain the norm, but they are horribly inefficient. Only about 5~10% of the energy they consume is used to produce light, while the rest is burned off as useless heat.

For Allard Bijlsma, that spells opportunity. Standing in a conference room in a suburb of Antwerp, he picks up an oblong silver object slightly smaller than a rugby ball, brandishes it triumphantly, and makes the sales pitch. “We will shape this market; we will change the rules of the game,” he says.

Bijlsma runs the consumer luminaries business for Dutch company Royal Philips Electronics. He’s feeling particularly upbeat these days because he’s about to launch a new line of high-tech products that use only a fraction of the energy of traditional lighting. The oblong object he’s holding is a table lamp. It's just one of new 50-plus lighting instruments based on the latest in digital light-emitting diode (LED) technology, which can produce a warm, white light that comes close to rivaling halogen lamps but uses only a fraction of the electricity. And, unlike traditional bulbs, there’s no need to stock up on spares: Philips estimates the new LED lights will have a 20-year life.

Energy-efficient lamps have been around for more than two decades, but until recently they’ve had a mixed sales record. The earliest fluorescent models were expensive and clunky, and that put many consumers off. “A lot of people still think that energy-saving light bulbs are too large and too dim,” says James Russill, a lighting specialist at Energy Saving Trust, a British nonprofit consumer advisory group. That’s finally starting to change, for three reasons. The first is that the technology has improved immeasurably thanks to LED, which consists essentially of semiconductors coated with phosphorus. Second, prices have come down to the point where a high-tech lamp doesn’t need to be much more expensive than a traditional incandescent one. Third, perhaps most significantly, governments are now getting involved in energy-saving efforts. Last year, Australia became the first country to announce it is banning incandescent bulbs (from 2010). Britain is also moving to phase them out: from January, no incandescent bulbs of 100W or more will be sold. In October, a meeting of European Union energy ministers supported calls for an E.U.-wide ban on these bulbs, but the exact timing has yet to be decided.

당신이 다음번에 전구스위치를 켤 땐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1/5이 불을 켜는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 중 대부분은 낭비되고 있다. 전통적인 백열전구는 100년 전에 발명됐지만 여전히 표준으로 통한다. 이러한 백열전구는 지독하게 비효율적이다. 백열전구는 소모하는 에너지의 5~10%만 실제 불빛을 내는데 쓴다. 나머지는 전부 열로 낭비된다.

알라드 바일스마는 이를 기회로 받아들인다. 네덜란드 앤트워프시 근교의 한 회의장에서, 그는 럭비공보다 약간 작은 타원형의 길쭉한 은빛 물체를 집어들고 자랑스럽게 휘둘렀다. 뒤이어 그는 “우리는 이 시장을 만들 것이다. 우리는 게임의 규칙을 새로 바꿀 것이다”라는 판매용 발언을 했다.

바일스마는 네덜란드의 로얄 필립스 전기회사에서 고객담당 조명 업무를 담당한다. 그는 최근 매우 기분이 좋다. 기존 조명기구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극히 일부분만 사용하는 새로운 하이테크 제품을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그가 가진 길쭉한 물체는 바로 탁상용 전등이다. 그것은 최신의 디지털 LED 기술에 기반한 50여 개의 조명기구 중 하나였다. 그것은 경쟁상대인 할로겐 전등만큼 밝은 빛을 내면서도 전기는 매우 적게 들었다. 기존 전구와는 다르게 예비전구를 쌓아둘 필요도 없었다. 필립스에서 예측한 바에 따르면 새로운 LED 전구는 20년 정도의 수명을 가진다.

에너지 고효율 전등은 20년 이상 사용돼 왔지만 최근까지도 판매되는 수량이 일정치 않았다. 구매자들은 최초의 형광등 모델을 비싸고 투박하다는 이유로 멀리했다. 영국에 위치한 비영리 소비자컨설팅그룹인 ‘에너지절약협회’(EST)의 제임스 러실은 “많은 사람이 여전히 에너지 고효율 전등이 너무 크고 너무 어둡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세 가지 이유 때문에 그 생각에도 변화가 생겼다. 첫째는 인(燐)을 겉에 입힌 반도체인 LED에 의해 기술이 크게 발전했기 때문이다. 둘째는 하이테크 전등이 전통적인 백열등보다 많이 비싸지 않은 정도로 가격이 내렸다. 가장 중요한 세 번째 이유는 정부가 에너지절약의 노력에 동참했다는 점이다. 2007년 오스트레일리아는 세계 최초로 2010년부터 백열전구의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영국도 백열전구의 사용을 점차 줄여가는 추세로, 2009년 1월부터 100W 이상의 백열전구 판매를 금지한다. 2008년 10월에는 유럽연합(EU)의 에너지부 장관들이 모임을 갖고 EU 전역에서 백열전구의 판매를 금지할 필요성에 합의했다. 단 정확한 시기는 아직 미정이다.

동영상으로 보는 과학

① LED의 특성은 컴퓨터를 이용해 색상을 손쉽게 바꿀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과거의 여러 조명기구를 물리치고 장식용으로 사랑받고 있다. www.youtube.com/watch?v=UoPDFnNMML4와 www.youtube.com/
watch?v=wSw7pn_IDQo를 방문해 보기 바란다.

② LED 조명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료가 저렴하고 오랜 수명, 밝은 조도를 지녀 건물 외벽의 장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www.youtube.com/watch?v=x5K1X6EPWWI에서 LED 전구가 장식용으로 활용되는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9년 01월 과학동아 정보

  • skyrider 기자

🎓️ 진로 추천

  • 전기공학
  • 전자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