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에 대한 공헌자와 전범이라는 두 가지 얼굴

전쟁으로 온 유럽이 혼돈에 쌓여있을 때 선정된 노벨 화학상의 주인공은 프리츠 하버(Fritz Haber)였다.

인류에 대한 공헌자와 전범이라는 두 가지 얼굴
1918년, 노벨재단은 3년만에 노벨 화학자 수상자를 선정하였다. 1차 세계대전 탓에 1916, 1917년 모두 수상자를 선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전쟁으로 온 유럽이 혼돈에 쌓여있을 때 선정된 노벨 화학상의 주인공은 프리츠 하버(Fritz Haber)였다. 공기 중의 질소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데 성공한 독일인 프리츠 하버는 과학, 산업적 측면뿐 아니라 식량 생산 증진으로 인한 기아 해결이라는 사회적 측면에서도 훌륭한 공헌을 한 과학자였다. 그러나 그는 유태인이면서 독일 국민이었고, 애국자였다. 그는 최초로 독가스 제조에 성공한 사람이었으며 그가 만든 암모니아 합성 이론은 독일군의 화약 제조에 활용되었다. 그 자신조차 헌신적인 독일인임을 자랑스러워했다. 때문에 노벨재단은 영국과 미국의 과학자들로부터 항의를 받게 되었고 시상식에는 스웨덴 왕족이 한 명도 참석하지 않는 일도 벌어졌다. 인류에 대해 공헌한 자에게 주는 노벨상의 의의를 생각해 본다면 프리츠 하버의 수상은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프리츠 하버(Fritz Haber)
 
암모니아 합성에 성공한 하버의 연구 덕택으로 독일은 1차대전 중 화약원료인 질산을 자급할 수 있었다.  하버의 연구 공간에서는 새로운 독가스의 개발과 사용법은 물론 , 독가스로부터 군인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들의 개발도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1차 세계대전 독일군의 화약 제조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8년 08월 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역사·고고학
    • 정치외교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