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 사스 원인 바이러스는 여럿이다?

사스가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됐다는 WHO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사스가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을지도 모른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홍콩 프린트 오브 웨일즈 병원의 바이러스 담당자인 존 탬 박사는 53명의 사스환자들 가운데 25명에서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라는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독일과 캐나다에서도 같은 바이러스가 환자들에서 검출된 바 있다.

메타뉴모바이러스는 사람에게 볼거리를 일으키는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과에 속한 바이러스로 2001년 네덜란드의 어린이들에게서 처음 발견됐다. 닭, 꿩, 메추리 등의 동물에서 소화기, 호흡기 및 신경이상을 일으키며 감염시 100% 폐사를 유발하는 뉴캐슬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97년에는 돼지에 감염되는 파라믹소바이러스의 일종인 메난글바이러스(menangle virus)가 돼지농장 관리인 두명을 감염시켰다는 보고도 있었다. 과학자들은 메타뉴모바이러스가 코로나바이러스와 함께 인체에 감염됐을 때 그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밖에 폐렴이나 성병 등을 일으키는 클라미디아 뉴모니에(Chlamydia pneuminiae)라는 박테리아도 사스환자들에서 검출됐다. 과학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 외에 다른 바이러스가 사스의 진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물고기 뼈 모양의 파라믹소바이러스.


2. 공기중으로 전파된다?

중국에서 사스환자를 치료하던 한 의사가 홍콩의 메트로폴 호텔에 숙박하면서 순식간에 사스가 호텔 투숙객들에게 퍼져갔다. 이때 호텔의 환기시설을 통해 사스바이러스가 전파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는 보통 침에 섞여 전파된다. 그러므로 직접 환자와 접촉하거나 침이 영향을 미치는 약 1m 이내에 있는 경우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메트로폴 호텔의 경우 9층에서 집단적으로 발병했고 호텔 종업원들은 별다른 감염증세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로선 환자와 함께 엘리베이터를 같이 타는 동안 기침을 통해 집단 감염된 것이 아니냐는 추정을 하고 있다. 메트로폴 호텔과 함께 집단발병지로 꼽히는 홍콩 아모이가든 아파트의 경우 건너편 공사장의 인부들은 감염되지 않았다는 점도 공기를 통한 전파를 반박하는 증거로 제시되고 있다. 홍콩 방역당국은 처음에는 쥐를 통해 감염되지 않았을까 추정했으나 쥐에서는 사스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여엉키옹 홍콩 위생복리국 국장은 4월 17일 아모이가든 아파트 주민 3백21명 집단감염사태 조사결과를 보고하는 기자회견에서 “욕실 바닥 배수구와 연결된 U자 배수관을 통해 들어온 환자의 분뇨 방울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바퀴벌레가 바이러스에 오염된 배설물을 옮기는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독일 열대의학연구소도 환자의 배설물에서 사스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전세계 사스화자의 발원지가 된 홍콩 메트로폴 호텔.


3. 슈퍼전파자 존재한다?

몇몇 사스환자들은 각각 30명 이상에게 사스바이러스를 퍼뜨렸고, 홍콩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 병원에 입원한 20대 공항직원은 자신을 치료했던 의료진을 포함해 무려 1백12명에게 사스바이러스를 옮겼다. 싱가포르의 한 20대 여성이 친척들을 포함해 1백여명을 집단 감염시키고 자신은 회복되기도 했다. 싱가포르의 사스환자는 소수를 제외하고 대부분 이 여성으로부터 바이러스를 물려받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른 환자들에 비해 바이러스 전파능력이 엄청난 이른바 ‘슈퍼 전파자’들이다.

과학자들은 다른 감염자들과 달리 어떤 감염자들은 그렇게 빨리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는데 대해 의아해하고 있다. 일부 의료진은 이와 관련해 약물처리된 증기를 환자들의 허파 깊숙이 분사하는 분무기를 의심했다. 분무기를 통해 허파 속까지 들어갔던 증기는 환자의 허파를 확장시키고, 호흡시 바이러스와 함께 내뿜어졌을 것으로 의료진은 보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질병 징후가 나타나기 전에 감염을 모르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과 접촉, 대규모 전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례로 1913년 천연두에 걸린 한 남성이 열차에 탑승, 모두 1백여명의 승객들에게 천연두바이러스를 퍼뜨렸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3년 05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의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