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해, 달, 별이 뜨고 지는 법에 대해서는 초등학교에서 거의 다 배운다. 하지만 그 내용이 의외로 까다로워 많은 어른(고등학생 포함)들의 체면을 구겨놓고 있다. ‘어른이 그것도 몰라요’ 하고 핀잔을 주는 어린이들이 늘어가는 현실인 것이다. 과거에는 어른들이 어려워서 그렇게 되묻는 아이들이 별로 없었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필자에게 괴로움을 호소하는 어른들, 선생님들이 주위에 꽤 많이 있다. 특히 아이들의 질문을 피해 도망다니는 일이 가능한 아빠들에 비해 엄마들이 당하는 괴로움은 무척 큰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어른들이 정확히 알고 대답해주면 문제는 다 해결되는 것 아니겠는가. 새해에는 필자와 함께 매달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기로 하자.

★ 하지인 어제 해가 아래 그림처럼 동산에서 떠올랐다. 문제 1-5의 정답에 가장 가까운 그림을 보기에서 골라라.


문제 1~5번 그림


(1) 오늘 아침에는 해가 어떻게 떴을까? ( )
(2) 한달 전에는 해가 어떻게 떴을까? ( )
(3) 한달 후에는 해가 어떻게 뜰까? ( )
(4) 어제가 하지가 아니고 춘분이었다면 한달 전에는 해가 어떻게 떴을까? ( )
(5) 어제가 하지가 아니고 춘분이었다면 한달 후에는 해가 어떻게 뜰까? ( )

I 정답 해설 I

해는 춘분때 정동에서 떠서 정서로 지지만, 이후 차츰 북쪽으로 올라와 하지때는 거의 북동쪽에서 떠서 북서쪽으로 진다.

하지 이후 해는 다시 남쪽으로 내려가 추분때 다시 정동에서 떠서 정서로 지고, 이후 남쪽으로 내려가 동지때는 거의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지게 된다. 이것을 천구에서 그리면 아래 그림과 같다.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A다. 해가 뜨는 곳이 매일 조금씩 변하기는 하지만 하루 만에는 별로 표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 한달 전에는, 즉 5월에는 틀림없이 해가 더 남쪽에서 떴을 것이다. 우리는 해가 뜨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그림에서 오른쪽이 남쪽이 된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C다. 하지 한달 후, 즉 7월에도 해는 더 남쪽에서 뜰 것이므로 문제(3)의 정답도 역시 C가 되겠다.

어제가 하지가 아니고 춘분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춘분때 해는 정동 방향에서 뜨지만 한달 전에는, 즉 2월에는 정동 방향보다 남쪽에서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4)의 정답은 여전히 C다. 하지만 한달 후에는, 즉 4월에는 해는 정동 방향보다 북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5)의 정답은 B다.


정답 해설 그림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1년 01월 과학동아 정보

  • 박석재 책임연구원

🎓️ 진로 추천

  • 천문학
  • 지구과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