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능력으로 반지 흔들기
반지 3개를 길이가 다른 실에 매단다.그리고 관객이 가리키는 반지만 흔들리게 해본다.
왜그럴까?
반지를 매단 실의 길이가 길면 그만큼 진동의 주기(한번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가 길고, 실의 길이가 짧으면 주기는 짧아진다. 실의 길이에 따라 특정한 진동 주기를 갖는 것이다.
막대를 살짝 흔들어보면 각 반지의 진동 주기를 알아낼 수 있는데, 원하는 반지의 진동 주기에 맞춰 같은 방향으로 조금씩 힘을 주면 점차 흔들림이 커진다.
이것을 공명이라고 하는데, 그네를 탈 때 주기에 맞춰 밀어주면 그네의 흔들림이 점차 커지는 것과 같은 원리다
줄 끊기 관성실험
사과의 위와 아래에 가는 실을 묶고,위와 아래 중 관객이 지정한 한쪽의 실만 끊어보자.
왜그럴까?
실을 끊으려고 할 때는 그 실에 큰 힘이 실리게 하면 된다. 아래의 실을 천천히 잡아당기면 그 힘과 사과의 무게가 더해져서 위의 실에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위의 실이 끊어진다. 아래의 실을 끊으려면 아래의 실을 힘있게 재빨리 잡아당기면 된다.
사과의 관성에 의해 잡아당기는 힘은 위의 실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래의 실에만 작용하므로 아래의 실이 끊어진다. 사과는 정지해 있었기 때문에 그대로 정지해 있으려 한다. 이처럼 물체가 원래의 운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관성이라고 한다. 버스가 갑자기 멈추거나 출발할 때 우리의 몸이 앞뒤로 쏠리는 이유도 관성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