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ssion to Mars미션 투 마스
감독/브라이언 드 팔마
주연/팀 로빈스, 개리 시니즈
-작품소개와 줄거리-
화성의 사이도니아 지역에 있는 ‘얼굴’ 모양의 지형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지구상의 생명의 기원이 화성이라는 충격적인 설정을 전개하는 영화다. 시나리오를 비롯해 모든 우주선 세트나 소품,장비 등을 미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공인받아 제작했다. 그런 만큼 장면에 등장하는 상황이 과학적으로 충실히 묘사돼 있다. 미래에 실현될 화성 탐사의 모델로 삼기에 손색이 없다.
서기 2020년, 인류 최초로 유인 화성 탐사선이 발사된다. 화성에 도착한 탐사대는 활동 도중에 수수께끼의 구조물을 발견하지만 갑자기 소식이 두절되고 만다. 이번에는 구조대가 화성으로 향하는데, 도중에 사고를 당해서 우주선을 포기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구조대장의 살신성인으로 나머지 대원들은 간신히 화성에 착륙하고, 거기서 온실에 식물을 재배해 공기와 식량을 만들어내며 혼자 생존해왔던 탐사대원과 다시 만난다. 그들은 함께 수수께끼의 화성 구조물을 연구하면서 태고적부터 내려오던 화성의 비밀을 한꺼풀씩 벗겨나가기 시작한다.
-영화 감상 포인트-
1. 지구에서 화성까지의 우주선 궤도를 그려본다.
이 영화에서는 거의 생략되어 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우주선이 지구에서 화성까지 날아가는 궤도나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가장 적절한 궤도는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본다(과학동아 2000년 4월호 특집 기사 참조). 또 장거리 우주여행에서 승무원들은 무엇을 먹고, 생활환경은 어떤지, 그리고 배설물은 어떻게 처리되고 순환되는지 조사해 본다. 그리고 장기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승무원들의 심리적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토의한다.
2. 상대속도와 관성의 개념을 파악한다.
구조대 우주선에 사고가 생기는 바람에 대원들은 우주선을 포기하고 마침 근처를 지나던 무인화성탐사선에 옮겨타려고 한다. 이 도킹과정에서 대원들과 탐사선의 접근속도가 너무 빨라 구조대장이 낙오하고 만다. 이 장면에서처럼 운동하는 물체들이 서로 접근하거나 충돌할 경우 상대속도는 어떻게 될까. 또 구조 대장이 우주 공간에서 멈출 수 없었던 것을 관성과 관련지어 설명해보자.
3. 화성에서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어떤 조건이 충족돼야 할까?
화성에 혼자 남은 탐사대원이 식물을 재배하면서 어떻게 생존할 수 있었는지 생각해본다. 공기와 식량은 어떻게 얻었으며, 식물에 자양분은 어떻게 공급했는지, 또 식물의 생장 조건에서 지구와 화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4.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 소리는 어떻게 포착하는가?
화성의 구조물에서 나오는 미지의 음향을 해석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영화 ‘콘택트’에 등장한 것과 비슷한 이 방법은, 음향의 주파수와 진폭 등을 X,Y,Z축의 3차원 도표에 옮긴 것이다. 영화에서 이 그래프를 DNA의 이중나선 모양과 어떻게 일치시켰는지 생각해본다.
GALAXY QUEST갤 럭시 쾌스트
감독/딘 패리섯
주연/팀 알렌, 시고니 위버
-작품소개와 줄거리-
너무나도 유명한 SF 시리즈인 ‘스타 트렉’을 철저하게 패러디한 코미디로서 시종일관 폭소를 터뜨리게 만드는 오락영화다.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갖가지 아이디어들이 담겨있고, 또한 상식을 거스르는 통렬한 풍자도 음미할 만 하다.
이야기는 유명한 TV연속극이었던 ‘갤럭시 퀘스트’의 출연배우들과 함께 시작한다. 지금은 별 볼 일 없는 신세들로 전락한 채 어쩌다 팬사인회에서나 예전의 명성을 되찾는 즐거움만을 안고 있는 그들. 그런데 어느 날 외계인들이 그들에게 찾아온다. 외계인들은 ‘갤럭시 퀘스트’를 지구 영웅들의 역사가 기록된 다큐멘터리로 보았던 것이다. 그때부터 그들에게는 상상도 못할 엄청난 모험이 펼쳐진다.
-영화 감상 포인트-
1. 순간이동이 가능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해본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순간이동식 우주여행법은 매우 독특하다. 우주선을 타지도 않고, 물질을 해체해 전송하는 방식도 아니다. 그저 어떤 액체에 둘러싸여 우주공간을 날아갈 뿐. 이런 방법을 과학적으로 해석한다면 어떤 설명이 가능할지 상상력을 동원해 보자.
2.센서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해본다.
우주 지뢰밭의 추격전 장면에서 주인공이 구사한 전술은 어떤 원리를 이용했는지 생각해본다. 지뢰가 우주선을 따라오려면 어떤 종류의 센서가 있어야 한다. 과연 이 지뢰의 감지기는 자기장, 전파, 중력, 물질의 밀도 중에서 무엇을 포착할까? 각각의 경우 감지기의 원리는 어떤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