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초등 6학년 - 분자와 분자운동

물 속에서 물질이 퍼져나가는 것을 보여준 잉크실험의 발문과 사진이 원래 의도한 교육과정의 목표와 동떨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초등학교 6학년 1학기의 분자와 분자운동 단원 중에 물 속에서 물질의 퍼짐을 탐구하는 내용이 있다. 내용의 시작은 '투명한 병에 물을 붓고 깔때기를 끼운 다음, 스포이트로 잉크를 2-3방울 떨어뜨린다. 잉크는 물 속에서 어떻게 되는가? 그 까닭은 무엇인가?'로 시작하며 파란 잉크를 깔때기를 통해 떨어뜨리는 사진이 함께 나온다.

이 실험의 주요 목적은 물을 흔들거나 저어주지 않았는데도 잉크가 물 속에서 퍼져 나가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이 현상을 분자운동과 관련시키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잉크를 물 위에서 떨어뜨리면 잉크는 아래로 떨어지는 큰 흐름 속에서 물 전체로 서서히 골고루 퍼져나갈 것이다. 그러나 교과서의 발문과 사진처럼 실험을 했을 때는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2시간이 지나도 물 속에서 잉크가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하기 어렵다. 학생들은 잉크가 물 전체로 퍼져 나간다기 보다는 물 아래로 가라앉는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학교현장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지도할까. 참고로 교사용 지도서에는 아지랑이처럼 퍼져 나간다고 쓰여있다.

당연히 퍼져 나갈 것이라고 생각해 "곧 전체로 퍼진다"고 설명한다면 과학이 지향하는 탐구력은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을까. 자기가 관찰한 것을 근거로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지식에 근거해 실험을 한담녀 이는 시간의 낭비일 뿐이다.


20초 경과후(왼쪽), 2시간 경과후(오른쪽) 물 속 잉크의 퍼짐 정도.


실험에서 섣부른 결론은 금물

물론 오랜 시간을 두고 관찰하면 잉크는 정말 물 전체로 퍼진다. 그러나 이것이 교과서가 의도한 것이었을까. 정말 교과서의 의도가 잉크는 밀도가 커서 밀도가 작은 물 아래로 가라앉고, 오랜 시간을 두었을 때 잉크가 물 속으로 골고루 퍼져 나간다는 것으로부터 물 또는 잉크분자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추리하도록 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닐 것이다.

교과서의 후반부에서는 잉크 대신 색소를 물 위에 떨어뜨리는 실험이 제시돼 있다. 이 실험은 깔때기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물 위에서 떨어뜨린다. 여러 가지 물 속에서 퍼질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물 속에서 물질의 퍼짐을 일반화하려는 의도로 생각된다. 따라서 교과서에 깔때기를 이용한 발문과 사진은 본 수업의 목적에 도달하는 것과는 너무 거리가 멀다.

깔때기를 사용해 잉크나 색소를 떨어뜨리는 실험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밀도와 확산이라는 개념을 복합적으로 관련시킬 때 유용하다. 또 단순히 물위에 잉크를 떨어뜨렸을 때 관찰할 수 있는 퍼짐이라는 개념에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본 수업의 목적과는 전혀 다른 차원이라는 말이다.


교과서에 제시된 물속에서 물질의 퍼짐을 다루는 실험.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9년 11월 과학동아 정보

  • 복종욱 교수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교육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