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③ 전세계 환경호르몬 피해 사례

생식력 감소에서 암유발까지

 

북해^바다표범 급감 원인이 면역기능 약화 때문으로 추정. 1989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피해가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다. 세계적인 환경단체 세계야생보호기금(WWF)은 야생동물에게서 성기 이상 증상을 보이거나 생식 불능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 사실을 발견했다.
 

덴마크 전역^남성 정자수 감소 ·1990년 6천6백만개/mL, 1940년 1억1천3백만개/mL 1992  '영국의학지' 논문


환경호르몬이 인간을 비롯한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생식기능 이상, 면역기능 약화, 이상 행동 유발, 그리고 암 유발 등 4가지로 구분된다. 하지만 환경호르몬이 직접 이런 현상을 일으키는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특히 암 발생률의 증가는 여러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여기서 설명된 내용은 세계야생보호기금이 작성한 자료를 토대로 이뤄졌다.
 

5대호^연어와 송어 암수동체 발견, 갑상선 비대(사진 위 네모 부위의 갑상선은 정상, 아래는 갑상선 비대)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8년 07월 과학동아 정보

  • 김훈기 기자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