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모두 아는 사실이지만 직접 곤충모형을 만들면서 그 공통점을 익힙시다. 아울러 거미모형도 만들어 거미가 곤충과 다른 점을 알아봅시다.
지구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동물이 바로 곤충입니다. 곤충은 수가 많은 만큼 생김새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사진 속의 곤충들을 잘 관찰해 보세요. 어떤 공통점이 있을 것입니다. 무엇일까요? 고무찰흙으로 곤충의 모형을 만들면서 찾아봅시다.
준비물
고무찰흙, 압정, 재활용투명파일, 철사, 가위, 조각도나 찰흙주걱, 참핀, 니퍼
잠자리 만들기
가을에 빨간 꼬리를 자랑하며 나타나는 고추잠자리도 만들어 볼까요. 잠자리의 유충은 수채라고 부르며 물속에서 생활합니다. 고추잠자리의 수채는 완전한 성충이 돼 기온이 내려가야만 빨간색이 됩니다. 그 전에는 노랗지요.
잠자리는 어떤 점이 특징일까요? 잠잘 때도 접지 않는 날개가 특징이지요. 또한 아주 큰눈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움직이는 물체를 쉽게 구별할 수 있지요.
방법
① 고무찰흙으로 머리 가슴 배를 만든다. 이때 배(꼬리)는 가늘고 길게 만든다.
② 머리에 커다란 두개의 눈과 짧은 더듬이를 붙인다.
③ 작은 가슴에는 세 쌍의 다리와 접히지 않는 두 쌍의 큰 날개를 붙인다.
④ 긴꼬리에 10개의 체절을 만든다.
개미 만들기
개미는 인간처럼 분업화된 사회를 이루며 생활합니다. 여왕개미는 약10년의 세월동안 알을 낳는 일을 하며, 수캐미는 이 여왕개미에게 정자를 제공합니다. 개미사회에서 또다른 암캐미들은 집을 지키거나 먹이를 모으는 병정개미와 일개미들입니다.
개미를 매미와 비교해 봅시다. 어떤 점이 다를까요? 개미는 매미처럼 몸이 세부분으로 나뉘며 다리가 세 쌍이지만 날개는 없습니다. 또한 더듬이는 90°로 꺾여 있지요.
방법
① 고무찰흙으로 머리 가슴 배를 만든다. 이때 가슴과 배의 경계는 호리병의 주둥이처럼 홀쭉해야 된다.
② 철사를 4㎝가 되게 자른 후 끝을 구부려 더듬이로 만든다.
③ 머리의 끝에는 먹이를 자를 수 있도록 가위와 같은 턱을 만든다.
④ 가슴에 세 쌍의 다리를 붙인다.
⑤ 찰흙주걱으로 배의 체절을 완성한다.
거미 만들기
분류학의 아버지인 린네도 거미를 곤충에 분류하는 실수를 저질렀답니다. 그러나 용불용설로 유명한 라마르크가 거미를 관찰해본 결과 거미는 곤충과 다르다는 것을 알아냈지요.
여러분도 라마르크처럼 관찰해보세요. 거미의 몸은 두 부분으로 나뉘며 다리는 네 쌍, 여러 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방법
① 고무찰흙으로 몸통을 머리가슴과 배의 두 부분으로 만든다.
② 철사로 머리가슴에 네 쌍의 다리를 붙인다.
③ 사진처럼 머리가슴에 여덟 개의 홑눈을 붙인다.
많지는 않지만 위의 방법으로 모형을 만들어보니 다양함 속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지요. 곤충의 몸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와 한 쌍의 겹눈, 가슴에는 세 쌍의 다리와 두 쌍의 날개, 그리고 체절이 있는 배 등···
이제 여러분 주변에 어떠한 생물이 나타나도 곤충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겠지요.
매미 만들기
한 여름 요란하게 우는 매미는 나무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고 그 알은 약 2-7년간 성장한 후 껍질을 벗고 성충이 됩니다. 성충은 알을 낳기 위한 배우자를 2주간 찾은 후 수명을 다하게 되지요.
매미를 잘 관찰해 보세요. 나무 위에서 쉴 때는 언제나 날개가 등 위에 얌전히 놓여 있답니다. 또한 나무를 찔러 수액을 빨아먹을 수 있는 빨대같은 입이 배쪽으로 접혀져 있습니다. 자, 관찰이 끝났으면 만들어 볼까요.
방법
① 고무찰흙으로 사진과 같이 머리 가슴 배를 만든다.
② 머리에 압정을 꽂아 겹눈을 만든다.
③ 철사를 3㎝가량 자른 후 머리의 아래쪽에 빨대 같은 입을 만들고 짧은 더듬이를 만든다.
④ 역시 3㎝가량의 철사로 다리를 붙인다.
⑤ 파일을 잘라 두 쌍의 날개가 등 위에 나란히 접히도록 붙인다.
⑥ 끝으로 찰흙주걱을 이용해 배에 체절 무늬를 새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