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3 초고속 통신 효과적 사용 요령

모뎀

최근들어 PC사용자들 사이에 고속모뎀에 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하지만 사용방법을 모르면 1만9천6백bps의 모뎀으로 2천4백bps 속도밖에 누리지 못한다. 효과적인 모뎀 사용법을 알아보자

컴퓨터 도사를 자칭하는 이들은 대개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들 가운데 가장 쓸만한 일로 통신을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먼곳에 있는 친구에게 자신이 만든 컴퓨터 음악 파일을 자랑하기 위한 가장 신속한 방법을 생각해보자. 디스켓을 우편으로 보내자니 시간도 시간이지만 분실의 우려도 있고, 그렇다고 직접 컴퓨터를 들고 갈 수도 없는 일이다. 이같은 고민은 모뎀을 통해 간단히 해결된다. 컴퓨터에 모뎀을 장치하고 모뎀에 전화선을 연결하면 데이터를 그대로 상대방의 컴퓨터로 보낼 수 있다.

전화선을 통해 전달이 가능한 신호는 3백Hz-3천4백Hz 사이의 아날로그 신호다. 이 정도의 대역폭으로는 우리의 음성을 전달하고 받는데는 큰 지장이 없지만 개인용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보내고 받을 수는 없다. 따라서 컴퓨터 내부의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전화선으로 보내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야 하는 변조와 다시 전화선을 타고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복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변조(Modulator)와 복조(Demodulator)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모뎀(MODEM ; 변복조기)이다.

컴퓨터 내부의 자료는 보통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모뎀을 통해 전화선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서 보내온 바이트 단위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을 해야 하며, 반대로 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직렬로 들어온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해야 한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이며, 이 UART를 거친 데이터는 모뎀 칩셋에서 처리가 된다.

통신속도 프로토콜은 압축 프로토콜과 다르다

다시 처음 이야기로 돌아가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료는 모뎀을 통해 무사히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자료를 주고 받는 컴퓨터가 486컴퓨터고, 오락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속도가 결코 느리다고 느끼지 못했음에도 모뎀을 통해 파일을 보내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면 전송 과정에 대해 궁금증이 생길 것이다.

그러나 이는 매우 간단한 이치다. 파일의 전송과 수신 때의 속도는 컴퓨터의 속도와는 그리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컴퓨터의 처리 속도에 비해 모뎀이 주고 받는 데이터 속도는 형편없이 느리기 때문이다.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2천4백bps 모뎀은 1MB 정도의 파일이라면 1시간 30분 정도는 우습게 걸린다.

필자가 아는 한 친구의 이야기를 예로 들겠다. 컴퓨터 통신에 맛을 들인 이 친구는 엄청난 전화 요금 청구서가 집에 도착한 날 빠른 속도를 가진 모뎀을 샀다. 매장에서 권한 9천6백bps 모뎀을 큰맘먹고 구입한것. 그러나 그는 그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비산 값을 주고 산 고속모뎀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프로토콜에 대하 어느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서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이 있어서 양쪽 모두 이 규칙을 따라야 한다. 이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하며, 보통 2천4백bps 모뎀은 CCITT의 V.22bis란 규약에 따라 전송과 수신을 하게 된다. 이 프로토콜에는 2천4백bps 속도를 위한 규격 외에도 9천6백bps를 위한 CCITT V.32와 1만4천4백bps 속도를 지원하는 V.32bis, 1만9천2백bps 속도를 지원하는 V.32terbo 등이 있다.

그가 구입한 모뎀은 CCITT V.32 규약을 지원하는 9천6백bps 모뎀이 아닌 CCITT V.22bis 규약을 지원하는 2천4백bps 모뎀에 데이터 전송과 수신시에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프로토콜인 MNP CLASS 5와 V.42bis가 적용된 모뎀이었다.

압축 프로토콜은 전송되는 데이터 중 반복되는 데이터를 압축해서 보내기 때문에 2천4백bps모뎀보다 최대 4백% 전송 효율을 가지고 있어 빠른 전송이 가능하지만 CCITT V.32계열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뎀과는 비교할 수 없이 속도가 느리다. 즉 실제 속도 9천6백bps와 압축을 해서 9천6백bps의 속도를 순간적으로 낼 수 있는 모뎀은 비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는 다시 모뎀을 V.32이상을 지원하는 모뎀으로 교환을 했다. 기분인지는 모르겠지만 모뎀에 꽂힌 칩들이 반짝반짝 빛나는 것 같고, 괜히 멋있어 보였다고 한다. 집에 와서는 통신 서비스에 고속 지원 전화번호로 연결을 했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CONNECT 38400/19200 V.42BIS

이런 메시지가 뜨는 것이 아닌가. 교환을 하기 전의 모뎀이 2천4백bps 속도에 V.42bis 압축 프로토콜을 적용한 9천6백bps급 모뎀을 구입했는데, 다시 V.42bis라는 메시지가 뜨다니. 그는 이 일로 필자에게 이해할 수 없다며 상의 전화를 걸어왔다. 통신 프로토콜인 V.22bis, V.32, V,32bis 등은 통신 속도에 관련된 것으로 속도가 2천4백, 9천6백, 192백bps 속도에 적합한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V.42bis나 V.42 등은 에러 교정, 압축 프로토콜이다. 다시 말해서 통신 속도에 관한 프로토콜과 압축 프로토콜은 용도가 다르다고 보면 된다.

그가 처음에 9천6백bps 모뎀으로 알고 구입한 모뎀은 V.22bis 프로토콜과 V.42bis 압축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9천6백급 모뎀이었다. 그후 교환을 받은 모뎀은 V.32터보 프로토콜과 V.42bis 프로토콜이 지원되는 모뎀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고속 모뎀으로도 빠른 속도를 전혀 맛보지 못하는 수도 있다. 모뎀으로 상대방 모뎀과 연결될 때는 항상 느린 쪽 모뎀의 속도에 맞추어서 속도가 결정된다. 즉, 현재 2만8천8백bps가 지원되는 모뎀이 있더라도 상대방(친구가 될 수 있고, 하이텔이나 천리안 등의 통신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모뎀이 2천4백bps의 속도라면 2천4백bps의 속도로 연결될 뿐이다. 빠른 모뎀의 속도를 낮출 수는 있지만 느린 속도의 모뎀을 빠르게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내가 1만9천2백bps의 속도를 가지는 모뎀을 가지고 있어도 상대방이 2천4백bps의 속도를 가지고 있다면 가능한 속도는 2천4백bps 밖에는 나오지 않는 것이다. 여러분이 이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은 것을 확인하고 모뎀을 선택하면 된다.

첫째,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 서비스가 지원하는 모뎀 속도에 맞추어서 모뎀 속도를 선택한다. 사용하려는 BBS가 최대 2천4백bps를 지원한다면 그 이상의 속도를 가진 모뎀은 최대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2천4백bps 속도밖에 낼 수 없다.

둘째, 고속모뎀을 구입하기로 했다면 제품이 2천4백bps 모뎀에 압축 프로토콜을 적용한 제품인지, 실제 속도가 고속인 제품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전송속도 1만9천2백bps의 고속 팩스모뎀

 

조만간 음성팩스 모뎀도 선보인다.

자유로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있어서 모뎀만큼 유용한 도구가 한가지 더 있다. 팩시밀리가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사무직이나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고가의 팩시밀리를 갖춘다는 것은 그리 만만한 일은 아니다. 물론 요즘에는 전화와 팩시밀리가 하나로 나온 것도 있지만 전화기 가격만을 놓고 본다면 여전히 부담스럽기만 하다.

팩시밀리를 많이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가끔씩 쓰거나, 한번 보낼 때는 여러 곳에 보내야 하는 일에 종사한다면 모뎀의 기능에 팩스 전송과 수신 기능을 첨가한 팩스 모뎀을 사용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경제적이다.

보통 팩스 모뎀은 일반 팩시밀리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또한 팩시밀리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여러 곳에 같은 내용을 팩스를 넣기에는 안성맞춤이다. 물론 통화중이거나 팩스 전송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 반복해서 전송을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팩스 모뎀은 프로그램에서 지원해주는가의 여부가 중요하다. 일반 팩시밀리 기기야 종이를 넣고 전송하고 전송을 받는 단순한 기능만을 알아서(?)해 주므로 사용자가 단순히(!) 사용을 하면 되지만 팩스 모뎀의 경우는 프로그램에서 제어를 해야 하기 때문에 팩스 제어를 위한 명령어들이 있다.

팩스 제어 명령어는 클래스로 구분이 되는데, 보통 각 팩스 모뎀의 제품별로 호환성이 좋은 Class1 표준이 있으나 프로그램에서 제어하는 방법이 까다로워 제어하기 쉽도록 각 회사별로 Class2 규정이 있다. 물론 확고한 표준이 아니므로 제어법이 각각 다른 불편한 점은 있다. 보통은 Class1과 Class2를 모두 지원하는 팩스 모뎀이 많으므로 팩스 모뎀을 구입할 때는 이 점을 고려하면 좋겠다.

그외에 팩스 모뎀을 구입하려고 한다면 팩스모뎀의 용도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괜히 모뎀을 구입할 때 있으면 좋으려니 하는 기대로 추가 부담을 들인다면 낭비일 뿐이다. 또한, 팩스모뎀의 경우 일반 모뎀과는 달리 확고한 표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칩셋을 사용하는 모뎀을 선택하도록 한다.

조만간 팩스 모뎀에 음성 기능이 추가된 보이스 팩스 모뎀이 시장에 선보일 것이며, 전화가 온 후에 데이터 모뎀이 전화를 건 것이라면 데이터 수신을, 팩스 신호라면 팩스 수신을 하며, 음성 신호라면 자동 응답기 기능을 알아서 식별하는 제품도 나올 것이다.
 

PCMCIA용 팩스모뎀^ 통신의 중요성을 인식한 PC사용자들의용구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모뎀이 선보일 예정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4년 06월 과학동아 정보

  • 최용석 연구원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