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영국의 험프리는 '63번 혜성일 가능성 높다' 주장도

B.C.7년경의 목성(왼쪽)과 토성의 접근 모습


예수탄생별에 대해 목성과 토성, 또는 목성과 화성의 합(合)현상, 변광성인 미라의 극대기, 혜성설 등이 제기되고 있다.

길거리에 캐럴송이 울려퍼지고 크리스마스트리가 모습을 나타내는 시기가 돌아왔다. 최근 크리스마스트리 위에 장식된 베들레헴별이 어떤 천체인지에 대한 천문학자들의 진지한 논의가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베들레헴별은 예수가 탄생했을 때 나타난 천체. 신약성서 마태복음에 따르면 동방박사들이 이 별을 보고서 예수가 탄생한 곳을 찾아왔다고 전해진다. 과연 이 천체는 실제로 존재하는 별일까. 실제로 존재하는 별이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별일까.

베들레헴별에 대해 최초로 과학적인 접근을 했던 사람은 유명한 천문학자인 케플러. 그는 B.C.7년에 목성과 토성이 물고기자리에 접근하는 것을 계산으로 도출해내고 이것이 예수탄생별이라고 주장했다. 고대천문학을 전공한 일본의 사이토는 케플러의 계산을 확인한 결과 B.C.7년 5월27일 10월6일 12월1일 세차례에 걸쳐 목성과 토성이 1°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확인했다. 밝기는 10월6일의 목성이 -2.5등급, 토성은 -0.2등급. 목성과 토성이 1년에 3번씩이나 접근하는 것은 1백20년만에 한번씩 일어나는 현상이다.

영국 셰필드 대학의 데이비드 휴즈는 "목성과 토성이 물고기자리에 접근하는 것은 바빌로니아의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에게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목성은 신을 의미하고 토성은 유대인, 물고기자리는 팔레스티나를 나타낸다는 것.

플라네타리움에서 B.C.7년 바빌로니아의 하늘을 재현한 결과 목성과 토성이 물고기자리에서 2° 가까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됐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하나의 별이 빛나는 것이 아니라 밝기는 다르지만 두개의 별로 구분돼 보였다. 성서에 기술된 것처럼 하나의 별은 아니었다.

또한 B.C.6년에는 목성과 화성이 물고기자리에서 약 3° 사이를 두고 접근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현상은 수백년에 한번 나타난다.

한편 고래자리에서 빛나는 미라가 예수탄생별이라는 주장도 있다. 미라는 평균 3백31일을 주기로 3-9등급 사이의 밝기를 반복하는 변광성이다. B.C.4년 9월29일 미라의 극대기가 바로 예수탄생을 알리는 베들레헴별이라는 것. 그 근거로는 당시 점성술에 자주 등장하는 별자리는 물고기자리가 아니고 미라가 포함된 고래자리였다는 사실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미라의 주기는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2천년 전의 정확한 극대기를 예상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는 반론이 있다.

베들레헴별의 뿌리를 혜성에서 찾는 사람도 있다. 어느날 갑자기 나타나는 혜성이 항상 볼 수 있는 행성이나 계절마다 반복되는 붙박이 별보다는 신선감이 더 있기 때문이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콜린 험프리는 중국의 한서천문지(漢書天文志)에 기록된 63번 혜성이 바로 베들레헴별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 한다. 이 혜성은 B.C.5년 3월9일부터 70일 동안 보였던 혜성이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들 별 모두는 예수가 탄생한 12월25일과는 너무 차이가 난다. 이에 대해 일본 아오야마 대학의 하라메구미는 "예수 탄생을 축하한 것은 그리스도교가 로마의 국교로 되었기 때문인데, 이 당시 동지 때 거행됐던 농업제를 기리기 위해 예수 탄생일을 12월25일로 잡았던 것이다"고 설명했다. 동지란 천문학적으로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은 시기. 이 이후 태양은 고도가 높아지는데 이 때문에 동지를 태양의 탄생일로 본다는 설명이다. 성서에서는 예수를 태양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아무튼 베들레헴별이 목성과 토성의 접근이든 아니면 목성과 화성의 접근이든, 아니면 변광하는 미라이든, 혜성이든 이들이 나타난 시기와 예수 탄생시기로 추정되는 B.C.4-7년경은 일치하고 있다. 베들레헴별이 실제로 존재하는 별의 기록인가, 아니면 단순한 상징인가하는 문제는 성서에 나타난 상세한 주변 기록으로 볼때 어떤 천체의 출현일 가능성이 높다.
 

예수 탄생 별로 추정되는 고래자리의 변광성 미라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3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천문학
  • 역사·고고학
  • 종교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