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떤 기술로 가능할까 "아십니까, 정보사회를?"

●정보는 돈

정보는 돈이다. 정보에 어두우면 사업에 성공하기도 힘들다. 고용정보 부동산 정보 증권정보 입시정보 등도 현대사회에서는 필수적이다.
 

정보는 돈


●정보의 전달

과거에 정보는 말로 표현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점차 글자로 표현되었고 이를 좀더 알기쉽게 표현하기 위해 그림이나 도표도 사용했다. 요즘에는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전화나 전신을 사용하고, 라디오나 텔리비전과 같은 대중매체를 사용해 음성 또는 영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엄청난 기억용량과 빠른 처리속도를 가진 컴퓨터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데이타통신이 등장해, 문자나 그림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정보가 전달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가지 형태로 표현되고 전달되는 정보를 한마디로 압축한다면 ‘인간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 놓은 쓸모있는 자료’라고 말할 수 있다.

 

●정보통신의 등장

돌도끼나 돌화살 등으로 사냥을 주로 하던 원시사회는 단순한 기호나 원시적인 말 등으로 서로의 생각을 주고받았으나, 농경사회의 정착으로 집단생활이 시작되면서 언어 외에 문자를 고안해냈다. 농경사회는 18세기 후반 증기기관이 발명되면서 산업사회로 급속히 변화된다. 이때는 금속인쇄술과 전신·전화기술이 발달해 정보를 대량으로 신속하게 전달해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인간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은 것은 컴퓨터와 새로운 전기통신기술. 1946년 ‘에니악’이 최초의 컴퓨터를 발명한 이후 현재는 슈퍼컴퓨터 내지 병렬처리컴퓨터 등이 개발돼 인공지능형 컴퓨터의 등장을 눈앞에 두게 되었다. 또한 광통신의 실현은 통신고속도로를 형성시켜 세계를 동시생활권으로 묶어나가고 있다. 더 나아가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결합, ‘정보통신’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이른바 ‘제3의 물결’즉 정보혁명을 요구하고 있다.

●「지피지기」면「백전백승」

‘적과 나를 알고 싸우면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는 손자병법의 가르침은 정보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표현해준다. 미래 사회는 농업사회에서의 토지, 산업사회에서의 물질이나 에너지처럼 정보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게 될 것이다.

●다품종 소량생산

정보사회는 전국적으로 연결된 정보통신망으로 인해 각 지역이 평준화되어 지역 및 계층간의 차이가 줄어들어 균형적 발전이 가능하며, 정보의 생산 저장 분배가 사회의 주요활동이 되기 때문에 서비스산업과 정보관련 산업이 주요 기간산업의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소비자들이 개성적이며 다양한 상품을 찾게되므로 생산체제도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바뀐다. 마지막으로 생활의 자동화로 여가선용과 창의적인 활동시간이 많아진다.

●극복해야할 과제들

정보화사회에서는 자칫 잘못하면 정보의 독점으로 인한 새로운 갈등과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정보의 누출로 인한 개인 사생활의 침해 등 여러종류의 컴퓨터범죄도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 프라이버시보호법이나 정보공개법 등을 재정하고, 컴퓨터범죄 방지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런 제도적장치와 함께 새로운 정보기기를 정직한 마음으로 사용하는 자세도 가다듬어야 한다.

●정보사회의 새로운 기술

정보사회를 가능케하는 기술 중 기본적인 것은 통신망. 정보사회에서는 원활한 정보활동을 위해 통신망이 사회 구석구석까지 퍼져 있어야 한다. 공중전화망 팩시밀리망 텔렉스망 등과 함께 컴퓨터전용망인 공중정보통신망도 폭넓게 이용된다.

●LAN

대형빌딩이나 대학, 연구단지에는 LAN(Local Area Network)이라는 근거리정보통신망이 사용되는데, 이는 같은 건물 또는 가까운 지역내에 설치돼 있는 전화 팩시밀리 컴퓨터 등 각종 정보기기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어 사용하는 지역단위 통신망이다.

●VAN

새로운 통신망의 활용은 부가가치통신망인 VAN(Value Added Network)으로 활성화 될 것이다. VAN이란 통신회선에 컴퓨터를 연결시켜 이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현재 신용카드 가맹점의 신용카드업무와 관광업계의 관광예약업무에 이용되고 있다. VAN은 정보화사회에서 가장 크게 활용될 통신망.

●ISDN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전화망 텔렉스망 데이타통신망 등 모든 통신망을 하나로 묶어 종합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으로 발전한다. ISDN은 음성은 물론 그림이나 문자 등 모든 형태의 정보를 하나의 디지틀통신망을 통해 전달한다.

●비디오텍스

가정에서 사용되는 TV수상기나 컴퓨터단말기를 통신망에 연결해 갖가지 생활정보를 문자 그림 도표로 받아보거나, 가정에서도 좌석을 예약하고 물건도 살 수 있으며 은행업무까지 처리하는 비디오텍스서비스도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용산지역에 1백여 가구를 대상으로 무료로 단말기를 대여, 생활정보서비스(천리안II)를 시범운용하고 있다.

●전자사서함

대형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여러사람의 사서함을 마련해놓고 단말기를 이용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전자사서함서비스도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H-mail(한글전자사서함)이란 이름으로 가입대샹자를 넓혀가고 있다.
 

자가학습과 재택근무


●자가학습과 재택근무

경우에 따라서는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고 집안에 설치된 컴퓨터단말기 화상전화기 팩시밀리 등을 통해 일을 처리하는 재택근무도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집에서 의사의 진단을 받을 수 있는가 하면 학생들은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뒤떨어진 과목을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자신의 실력과 적성에 맞게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우리의 기술수준

최근 우리나라는 메모리반도체 생산 세계 3위, 전자제품 생산 세계 6위권에 진입했다. 또한 개인용컴퓨터 수출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술수준도 일부 분야이긴 하지만 4메가 D램 개발에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

87년 이미 전화 1천만회선 돌파 및 전국자동화를 실현했으며 기초적인 컴퓨터통신망도 갖추고 있다. 뿐만아니라 서울올림픽 전산시스팀인 GIONS와 WINS를 자체 기술로 개발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컴퓨터 보급율


●컴퓨터보급률

우리나라 컴퓨터보급률은 아직은 매우 낮은편. 87년도 미국의 보급률을 1백으로 봤을 경우, 일본이 37.7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대만의 3.5보다도 뒤진 1.4밖에 되지 않는다. 컴퓨터보급이 정보화 수준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정보기기의 대표주자임을 감안할 때 국가 주도의 정보문화 보급정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89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일보사 편집부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