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BJ맹추의 먹방 채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음식을 먹을 때도 수학을 생각한다는 게스트 다솔 양을 모시고 음식을 먹을 때 필요한 꿀팁을 알려드릴 테니 많은 기대 바랍니다. 방송이 재미있으면 추천버튼 꾸~욱 눌러 주시고요! 자, 그럼 제가 좋아하는 달걀부터 시작해 볼까요?
BJ 오늘 먹방의 첫 번째 음식은 단백질이 풍부한 달걀입니다. 저는 삶은 달걀을 좋아하는데 노른자를 완전히 익히지 않고 반쯤 익혀 먹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드시는지 모르겠네요. 명란젓코난님. 달걀은 팍팍 삶아야 제 맛이라고 하시네요.
이쑤신장군님. 반숙을 먹을 바엔 날달걀을 먹으라고요? 네, 극단적이군요. 아 톰과젤리님 좋은 질문 하셨는데, 반숙을 하려면 얼마나 삶아야 할지 모르겠다고요? 저도 참 궁금합니다. 시간을 잘못 맞춰서 노른자가 안 익거나 완전히 익어 버린 적이 한 두 번이 아니거든요. 다솔 양, 얼마나 익혀야 할지 알 수 있는 방법 없나요?
다솔 훗~, 저는 피터 바람 영국 브리스톨대 물리학과 교수가 만든 달걀 삶기 공식을 이용한답니다. 원하는 노른자 온도에 따라 몇 분 동안 삶아야 하는지 알려주는 공식이죠. 단, 달걀의 온도와 최대 지름, 물의 온도, 그리고 원하는 상태의 노른자 온도를 알아야 해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1/M201702N010_2.jpg)
다솔 대략 4분 40초가 나왔어요!
BJ 역시 빠르네요. 자, 시청자 여러분. 반숙을 먹고 싶으면 달걀 삶기 공식을 이용하세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1/M201702N010_3.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1/M201702N010_8.jpg)
다솔 흠~, 맛있는 피자를 먹고 싶다면 작게 만들어야 해요.
BJ 그건 무슨 소리죠, 다솔 양? 피자 크기에 따라 맛의 차이가 있나요?
다솔 재료가 충분하다면 피자가 클수록 재료를 더 많이 넣으면 되니까 상관없을 거예요. 하지만 피자에 들어가는 재료의 양이 같다면 피자가 클수록 한 입에 들어가는 토핑의 양이 줄어드니까 맛이 없게 되죠. 유지니아 쳉이라는 수학자는 피자 크기에 따라 토핑이 어느 정도 들어있는지 식으로 나타냈어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1/M201702N010_4.jpg)
BJ 무작정 크다고 좋은 게 아니었네요, 여러분. 반성하겠습니다. 반지하의 제왕님. BJ가 시무룩해졌네, 토닥토닥. 위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뿔사! 치즈와 토핑이 다 떨어져 버렸어요! 아이고 아까워라…. 폭행몬스터님. 치즈가 미끄럼틀을 탔네요. 오즈의맙소사님. 치즈 탈출. 네, 정말로 탈출했습니다. 왜 피자를 먹을 때마다 치즈가 떨어지는 걸까요. 시청자 여러분이 좀 알려주세요. 추적60인분님. 피자를 접어서 집으라고요? 접어도 피자의 끝부분이 축 처지지 않을까요? 다솔 양, 어떻게 생각하세요?
다솔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를 이용하면 절대 처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곡면을 찢지만 않으면 구부리거나 늘려도 가우스 곡률은 변하지 않는다’는 정리지요. 가우스 곡률은 평면 위의 한 점에서 얼마나 구부러졌는지 나타내는 수치인데 주곡률★의 곱으로 구할 수 있어요.
피자가 평면일 때는 구부러지지 않았으니까 가우스 곡률이 0이에요. 피자를 그냥 집어 올리면 가로 방향의 굽은 정도가 0이니까 세로 방향의 곡률에 관계없이 가우스 곡률이 0이에요. 즉, 무조건 빼어난 정리를 만족하므로 끝부분은 아무렇게나 처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피자를 접어 올리면 가로 방향의 곡률이 음수가 되니까 세로 방향의 곡률이 반드시 0이어야 해요. 그래야 빼어난 정리를 만족하기 때문이죠. 접어서 들면 끝부분이 처지지 않을 거예요.
BJ 대단합니다, 다솔 양. 피자를 접어 올리면 치즈를 떨어뜨릴 일이 없군요. 시청자 여러분, 이제 치즈와 토핑, 절대 놓치지 마세요!
다솔 떨어져도 다시 집어먹을 거면서….
주곡률★ 곡면 위의 한 점을 지나는 모든 곡선의 굽은 정도를 구했을 때,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1/M201702N010_5.jpg)
BJ 마침 시청자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유리메기님께서 제보해 주셨네요. “저는 컵라면을 먹을 때 그릇 대신 뚜껑으로 원뿔 모양 깔때기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그런데 라면을 한 젓가락 집어넣으면 넘칠 때가 많아요. 어떻게 하면 깔때기를 가장 크게 만들 수 있나요? BJ맹추님, 알려 주세요.”
컵라면 뚜껑으로 그릇 만들기! 저도 자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다솔 양도 만들어 본적 있나요?
다솔 그럼요! 라면을 많이 담으려면 부피를 최대한 크게 만들어야 하는데 어떻게 접어야 원뿔의 부피를 가장 크게 만들 수 있을까요? 함께 접으면서 생각해 봐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1/M201702N010_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