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박 2일' 촬영 현장이 실시간으로 중계될 수 있는 이유

KBS 김성은 아나운서가 트위터에 올린 ‘1박 2일’의 여배우 특집 편 촬영현장 사진.


5월 6일 아침 9시경에 KBS의 김성은 아나운서가 자신의 트위터에 “KBS 정현관에서 촬영 중인 1박 2일 여배우 편! 본방송 기대됩니다” 라는 글과 함께 촬영 현장 사진을 올렸다. 이날 아침 8시부터 시작된‘1박 2일’여배우 특집 편 촬영 현장을 소개한 것이다.

그런데 점심시간이 되자 많은 사람들이 이 소식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었다. 어떻게 한 개인이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에 올린 소식이 실시간으로 중계하듯 금방 퍼질 수 있는 걸까? 최근 이런 궁금증을 풀어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셜 네트워크의 폭발적인 반응을 수학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장 자크 슬로틴 교수팀은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나 유전자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려면 네트워크에서 여러 회선을 연결하는 노드 몇 개만 잘 통제하면 된다고 영국의 과학 전문지 ‘네이처’ 5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때 필요한 노드의 개수를 백분율로 계산했다. 유전자 네트워크는 전체의 80%, 소셜 네트워크는 20%, 뇌의 신경 네트워크는 10%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는 어떤 정보가 사용자 20%에게 알려지면 모든 사용자가 알게 된다는 뜻이다.보통 노드가 촘촘하게 분포하고 있으면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노드 수가 적어진다. 연예인처럼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끄는 유명인이나 전파력이 높은 이용자가 주요 거점으로 작용해 소셜네트워크에 남긴 글이 인터넷을 타고 재빨리 퍼지고,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전파되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 위상기하학을 이용해 노드의 특성을 밝히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특정 노드의 수와 위치를 찾을 수 있다. 특정 네트워크에서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노드를 발견한 것이다.

슬로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사진) 연구에 첫발을 내디딘 것” 이라며 “앞으로 박테리아와 생명활동의 관계를 나타낸 생물 네트워크까지 연구를 확장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수학 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1년 06월 수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수학
  • 컴퓨터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