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지구사랑탐사대] 두루미를 찾아서! 쿠시로 두루미 원정대

 

2024년 11월 16일부터 19일까지 지구사랑탐사대 12기 대원 16명은 일본 쿠시로를 방문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추운 겨울에만 두루미를 관찰할 수 있지만 쿠시로에선 1년 내내 볼 수 있거든요. 두루미는 어떤 모습으로 대원들을 기다리고 있었을까요?

 

두루미를 연중 내내 볼 수 있는 쿠시로

 

눈처럼 흰 깃털 옷을 입고 빨간 모자를 쓴 두루미를 본 적 있나요? 새하얀 깃털과 빨갛게 드러난 머리 윗부분은 두루미를 대표하는 가장 큰 특징이에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두루미를 관찰하기 위해 일본 쿠시로로 향했어요.

 

쿠시로는 일본 홋카이도의 동쪽 끝에 위치한 항구 도시예요. 쿠시로에는 희귀한 동식물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 드넓은 쿠시로 습지가 특히 유명합니다. 쿠시로 습지는 습지 보호를 목적으로 제정된 국제 협약인 람사르 협약에 등록돼 있어요. 또, 쿠시로 습지는 일본이 람사르 협약에 가입할 때 최초로 등록된 곳이기도 해요.

 

우리나라에선 추운 겨울에만 두루미를 볼 수 있지만, 쿠시로에선 두루미가 텃새처럼 항상 그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쿠시로의 터줏대감인 두루미를 만나기 위해 대원들은 쿠시로 두루미 원정대가 되어 두루미를 포함한 다양한 새들을 직접 관찰하고 두루미 보호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어요. 현지의 두루미 보호협회 관계자, 탐조 전문가가 대원들과 동행하며 탐조 활동을 도왔습니다.

 

탐사 첫날, 대원들은 탐조 전문가인 시오 히로후미 연구원을 만났어요. 시오 히로후미 연구원은 국가에서 인증한 네이처 가이드 자격증을 가지고 활동하는 탐조 전문가예요. 연구원은 “쿠시로에선 두루미뿐 아니라 참수리와 오리류, 큰고니 등 다양한 조류를 만날 수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새와 쿠시로 생태계에 대해 설명해주었습니다. 더불어 대원들에게 3박 4일 동안 함께 찾아볼 새에 대해서 미리 알려주기도 했어요. 대원들은 설명을 들은 후 두루미를 직접 관찰했습니다. 신현서 대원은 “카메라를 들고 두루미의 모습을 담는 대원들이 꼭 제인 구달 같았다”고 전했어요. 

 

 
➊ 시오 히로후미 연구원(왼쪽)과 카토 보조 연구원.➋ 두루미와 몸을 비교하는 신유민 대원.

 

대원들이 기록한 두루미
 

 

 

 
두루미 보호 활동에 대해 설명을 듣는 대원들.

 

 
아칸 국제 두루미 센터.

 

쿠시로 하늘의 주인공들을 만나러!

 

탐사 둘째 날, 대원들은 두루미 먹이 주기 활동에 대한 설명을 듣기 위해 쿠시로 습지 주변에 있는 츠루이무라로 향했어요. 원래는 매년 10월부터 츠루이무라의 지정된 곳에서 두루미에게 먹이를 줄 수 있지만, 지금은 조류인플루엔자의 위험 때문에 먹이 주기 활동을 할 수 없었습니다. 

 

아쉬움을 뒤로 한 채 대원들은 또 다른 탐조 장소인 오토와바시로 출발했어요. 오토와바시는 온천수가 흘러 겨울에도 얼지 않고 두루미들에게 보금자리가 되어줘요. 대원들은 쌍안경을 이용해 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두루미 무리를 관찰했습니다. 두루미 무리 속에는 솔개와 참수리도 섞여 있었어요. 거센 바람에도 불구하고 대원들은 새의 자태에 감탄하며 카메라 셔터를 눌렀답니다. 탐사 셋째 날에는 물새를 관찰하기 위해 시라루토로 호수와 닷코부 호수에 방문했어요. 

 

 

“우와, 내 머리 위를 빙글빙글 도네?!”

 

호숫가에 들어서자마자 흰꼬리수리 한 마리가 대원들 머리 바로 위를 한 바퀴 돌고 날아갔어요. 흰꼬리수리가 날개 펼친 모습을 가까이서 보니 맹금류다운 기개가 느껴졌습니다. 더불어 대원들은 큰고니 떼 몇십 마리가 유유히 호수를 헤엄치는 광경과 흰죽지참수리가 물을 홀짝홀짝 마시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드넓은 호수에서 보는 새들의 모습은 새롭고 평화로웠답니다.

 

3박 4일간의 짧은 탐사였지만 대원들은 카메라와 쌍안경을 들고 열정적으로 새를 찾아다녔습니다. 홋카이도의 추운 날씨와 바람도 대원들의 열정을 막을 순 없었어요. 한채민 대원은 “첫 해외 탐사에서 더 넓은 시각으로 새를 볼 수 있어 기뻤다”고 소감을 전했어요. 다음에는 또 어떤 탐사가 펼쳐질까요?  

 

 
하늘을 날고 있는 두루미.

 

 

 
두루미는 다리가 긴 체형을 가지고 있다.

 

 
흰죽지참수리.

 

2025년 1월 1일 어린이과학동아(1호) 정보

  • 천세원(지구사랑탐사대 매니저)
  • 에디터

    박연정
  • 디자인

    정영진
  • 사진

    동아사이언스

🎓️ 진로 추천

  • 수의학
  • 환경학·환경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