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사향노루, 녹말

멸종위기종인 사향노루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니? 이쑤시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녹말까지 나, 과학마녀 일리가 자세히 설명해 줄게!

 

 

사향노루는 사슴과의 동물로, 아시아 동부에서만 발견됩니다. 높은 산에 바위가 많거나 침엽수림이 있는 곳에서 살지요. 고라니와 생김새는 비슷한데 몸집이 조금 더 작아요. 또 목부터 가슴까지 이어지는 가는 흰 띠무늬가 있습니다. 뿔이 없지만, 수컷은 뿔 대신 윗송곳니가 입 밖에 나와 있어요. 1968년 천연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된 야생동물입니다.

 

사향노루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될 만큼 그 수가 적어요.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양구군 등 비무장지대 일대에서 약 50마리만 살고 있지요. 사향노루의 개체 수가 적어진 건 불법 사냥의 대상이 됐기 때문이에요. 사향노루는 심장병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쓰이기도 하고, 사향노루의 향을 추출해 향수의 원료를 만들기도 해요. 이에 1975년부터는 국제적 야생동식물 거래 협약으로 사향노루에게서 향을 직접 채취해 수출입하는 행위가 금지됐습니다.

 

2017년부터 양구 산양사향노루센터에서는 사향노루를 보호하는 데 힘쓰고 있어요. CCTV로 사향노루의 서식지를 점검하는 등 기초 생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또 환경 단체의 도움을 받아서 사향노루가 사는 곳에 먹이를 놓아 폭설에도 굶어 죽지 않도록 하지요. 덕분에 지난 5월, 양구군에서 사향노루가 새끼 한 마리를 낳은 것이 확인됐습니다. 매년 1~2마리씩 사향노루가 태어나고 있답니다. 

 

▲셔터스톡
윗니가 돋보이는 수컷 사향노루.

 

 

 

녹말은 식물의 잎에서 광합성을 통해서 만들어진 영양분이에요. 영양분인 포도당 한 분자와 또 다른 포도당 한 분자가 화학적으로 반응해서 두 포도당이 연결돼요. 이런 반응이여러 번 생기면 연결되는 포도당의 수가 많아지고, 길어집니다. 녹말은 이렇게 만들어진 거대한 분자이지요.

 

녹말은 곡물 같은 먹거리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어요. 우리가 먹는 쌀도 대부분이 녹말로 이루어져 있어요. 감자, 고구마, 물에 불린 녹두 등을 갈아서 말리면 흰 녹말가루가 돼요. 국수의 면을 만들거나 탕수육 소스를 걸쭉하게 만들 때 이들과 녹말을 섞어서 먹을 수 있습니다. 녹말로 된 음식을 먹으면 침샘 등에서 나오는 소화 효소가 거대한 녹말 분자를 포도당 분자들로 분해하고 이들이 몸속으로 흡수돼요. 흡수된 포도당은 우리 몸의 중요한 에너지원이 된답니다.

 

흔히 보는 초록색 이쑤시개도 녹말을 이용해 만들어져요. 음식 찌꺼기와 함께 가축에게 사료로 줘도 문제가 없어 친환경 이쑤시개라고도 불리지요. 그런데 지난 3월, 녹말 이쑤시개를 튀겨 먹는 영상이 인기를 끌면서 녹말 이쑤시개로 음식을 만들어 먹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녹말 이쑤시개가 사람의 몸에 해를 끼치지 않지만, 먹기 위해서 나온 제품이 아니므로 절대로 먹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답니다.  

 

▲GIB
녹말 가루와 녹말을 저장하고 있는 곡물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11월 1일 어린이과학동아(21호) 정보

  • 손인하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식품학·식품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