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니야~!”
지난 11월 9일, 4명의 독자 기자가 광화문 KT 본사로 출동했어요. KT AI 코딩블록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명령을 직접 실행에 옮기는 KT AI 코딩팩으로 AI 비서 지니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였죠. 이날 기자단 친구들에겐 AI 강아지 로봇을 직접 조립하고 먹이를 주라는 미션이 주어졌어요. 
우리 친구들, 과연 미션에 성공했을까요?

 

 

나와 짝꿍을 구분하는 AI 지니?!


와이즈 교육 오예슬 주임님은 KT 본사에 도착한 친구들을 반갑게 맞아 주었어요. 책상에는 독자 기자들을 위한 컴퓨터 4대와 육면체 모양의 투명한 상자가 준비돼 있었어요. 이 상자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된 KT AI 코딩팩이었어요. KT에서 AI 교육을 위해 개발한 교육용 키트지요.


“직접 AI 코딩블록으로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고, 코딩팩으로 AI 지니를 실행해 대화해 봐요.”


본격적인 미션을 수행하기 전, 오예슬 주임님은 기자단에게 퀴즈를 냈어요.


“로봇과 AI는 같은 것일까요?”


잠시 고민하는 친구들에게 오예슬 주임님이 로봇청소기를 예로 들며 차이를 쉽게 설명해 주셨어요. 


“로봇청소기가 물건을 발견했을 때 자기 앞에 놓인 물건이 쓰레기인지, 아니면 그냥 바닥에 떨어진 물건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요? 그러기 쉽지 않아요. 로봇청소기는 ‘물건을 발견하면 빨아들여!’라는 명령으로 만들어진 로봇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로봇에 AI 기능을 넣으면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하고,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돼요. 그럼 로봇은 물건을 무조건 다 치우는 것이 아니라 학습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지요. 오예슬 주임님은 “AI 지니도 얼굴 데이터를 학습하면 옆 친구와 나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학습을 마친 AI 지니는 두 독자 기자의 얼굴을 구분하고 인식해 친구들을 깜짝 놀라게 했답니다.

 

 

코딩블록을 쌓아 강아지 애니메이션을 만들자!


AI 지니는 이름을 불러 호출한 뒤 명령을 내려야 작동해요. 잠든 AI 지니를 깨우는 호출어는 “지니야”였어요. 그런데 네 명의 독자 기자들이 여기저기서 동시에 “지니야”라고 부르자 서로 다른 AI 지니가 반응했어요. 이에 김지후 독자 기자는 자신의 AI 지니는 “멍멍아”라고 불렀을 때 반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호출어를 만들었어요. 


이어 두 명씩 팀이 된 독자 기자들은 직접 코딩하는 작업에 들어갔어요. 강아지가 명령을 내리는 목소리를 듣고 가까이 다가왔다 멀어지는 애니메이션을 코딩블록으로 만들었죠. 친구들은 안내에 따라 먼저 강아지 오브젝트를 추가하고, “이리 와” 또는 “저리 가”라는 음성인식 결과에 따라 오브젝트 크기를 바꾸는 코드를 설계했어요. 전소담 독자 기자는 “코딩을 처음 해봤는데, 어렵지 않게 따라 하면서 코딩에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는 소감을 밝혔어요.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AI 강아지 로봇!


“내 목소리와 명령에 반응하는 AI 강아지 로봇을 만들어 함께 놀아 볼까요? 적외선 센서와 모터를 활용해 강아지 로봇이 먹이를 먹도록 해 볼게요!”


두 명씩 짝을 이룬 독자 기자들은 역할분담을 했어요. 한 친구가 모터 1개와 센서 3개를 달아 강아지 로봇을 조립하면, 다른 친구는 KT AI 코딩블록으로 강아지 로봇이 음성인식에 따라 반응하도록 코딩 작업을 했어요. 그 결과 AI 강아지 로봇은 진짜 강아지처럼 짖고, 호출어를 들었을 때 모터가 작동하며 밥 달라며 입을 벌렸어요. 밥을 주면 입에 있는 적외선 센서로 이를 감지해 “감사하다”는 인사도 했지요. 머리에 있는 적외선 센서가 머리를 쓰다듬는 것을 파악하면 “기분이 좋다”는 말을 하기도 했답니다. 


전우주 독자 기자는 “오늘 만든 강아지 로봇은 센서가 여러 개 들어 있어 훨씬 재밌고, 직접 코딩으로 로봇이 음성을 인식하고 합성할 수 있는 점이 흥미로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오예슬 주임님은 “자신이 생각하는 사물과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 보면서 AI와 코딩 기술을 자연스럽게 접하고 익히는 시간이 됐길 바란다”며 독자 기자들과 인사를 나눴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0년 2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혜란 기자 기자
  • 사진

    AZA 스튜디오
  • 기타

    [제작지원] KT, 와이즈교육
  • 디자인

    정해인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 정보·통신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