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

 

남에게 들키고 싶지 않은 소중한 보물이 있나요? 잠금장치 달린 금고 하나 있음 좋을 텐데…. 이런 생각을 했다면, 이번 메이커 스쿨에 주목하세요. 내 소중한 보물을 누가 손대지 못하게 몰래 보관하고 싶은 어과동 친구들을 위해 섭섭박사님이 금고 만들기에 도전했어요.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금고의 비밀을 풀 확률은? 

 

금고의 비밀번호를 삽시간에 풀고 비밀을 훔쳐 유유히 사라지는 스파이. 영화 속의 한 장면처럼 금고의 비밀번호를 풀어낼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섭섭박사님은 ‘다이얼 금고’를 직접 만들며, 그 확률을 알아보았어요. 


“다이얼을 돌려 세 자리의 비밀번호를 맞혀야만 열리는 금고를 만들게요. 비밀번호는 3-6-9로 설정할게요.”


섭섭박사님은 금고의 동그란 다이얼과 3개의 바퀴가 하나의 회전축을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조립했어요. 이 금고는 첫 번째, 두 번째 바퀴에는 12개의 숫자(0~11), 마지막 바퀴엔 4개의 숫자(0, 3, 6, 9)를 비밀번호로 지정할 수 있어요. 세 바퀴에 쓰인 숫자들 중, ‘3’, ‘6’, ‘9’ 자리에 새끼 손톱만한 나무 부품을 끼우면 비밀번호가 설정되지요. 총 3개의 바퀴로 조합할 수 있는 비밀번호 경우의 수는 12×12×4로 576가지나 됐어요. 금고를 완성한 섭섭박사님은 “다이얼 금고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부품이 많기 때문에 조립할 때 접착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조립 꿀팁도 잊지 않으셨답니다.

 

 

알아보자! 잠금장치의 변신은 무죄! 

 

내 소중한 물건을 보호할 수 있는 잠금장치는 언제부터 사용된 걸까요? 기원전 2000년 무렵의 고대 이집트 벽화에 자물쇠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어요.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나 그 이전부터 사용했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고요. 백제의 유적지인 충청남도 부여 부소산에서 발견된 철제 자물쇠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로 잘 알려져 있어요. 잠금장치는 이후에도 꾸준히 사용돼 구리에 니켈 등을 섞은 백동 등 다양한 소재의 자물쇠 유물이 발견됐지요.


현대에 들면서 과학기술이 발전해 잠금장치의 형태도 점차 진화하고 있어요. 이제는 우리의 몸이 자물쇠를 풀 열쇠가 되었지요. 정맥, 홍채, 지문, 망막처럼 우리 몸의 특징이나 걸음걸이, 음성 등 행동의 특징으로 신원을 파악하기도 해요. 이를 ‘생체인식기술’이라고 하지요. 신체의 특징으로 인증하는 잠금 방식은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어 누가 몰래 가져다 쓰거나 분실할 위험이 적어요. 여러 분야에서 많이 많이 활용되고 있답니다. 

 

 

 

 

 

 

2020년 19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글 및 사진

    이혜란 기자 기자
  • 기타

    협찬 과학동아몰
  • 디자인

    정해인

🎓️ 진로 추천

  • 기계공학
  • 역사·고고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