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요즘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눈의 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요. 컴퓨터나 TV를 보는 시간도 많고, 밖에서 이동할 때에도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전보다 시력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아졌지요. 
 
학생들의 경우에도 안경을 쓰는 친구들이 안경을 쓰지 않는 친구들보다 더 많을 정도로 안타깝게도 시력이 나빠진 친구들이 많아요. 오늘은 기사를 토대로 시력에 대한 궁금증도 해결하고,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기로 해요. 
 
먼저, 시력이 나쁜 경우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각각 어떻게 다를까요? 
 
GIB
 
○ 눈에 이상이 없어도 실명할 수 있다?!
 
여러분의 반에는 몇 명이 안경을 쓰고 있나요? 2014년 교육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 1학년은 4분의 1, 4학년은 절반 정도가 시력 0.7 이하인 시력이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시력이란 물건을 눈으로 보고 똑똑히 분간할 수 있는 능력이에요. 보통 태어난 지 6개월 된 아기의 시력은 0.2예요. 그러다 3살이 되면 0.4의 시력을 갖추고, 6살이 되면 시력발달이 완성돼 1.0의 정상시력을 갖게 된답니다.
 
그런데 눈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도 시력이 0.8 이상 나오지 않거나, 두 눈의 시력이 0.2 이상 차이가 나는 어린이들이 있어요. 이를 ‘약시’라고 해요. 약시를 가진 어린이는 안경을 써도 렌즈를 껴도 시력이 나오지 않아 잘 보이지 않지요. 약시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굴절이상’과 ‘사시’예요. 먼저 굴절이상은 눈을 통해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제대로 상을 맺지 못해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눈 질환이에요. 근시와 원시, 난시가 여기에 속하지요.
 
근시는 망막 앞에 상이 맺히면서 멀리 있는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고, 원시는 망막 뒤에 상이 맺혀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 한편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면이 고르지 않아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지요. 의 정상시력을 갖게 된답니다.
 
혹시, 우리 눈의 양쪽 눈이 서로 경쟁을 한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우리 두 눈은 서로 경쟁을 하는 라이벌 관계라고 해요. 무슨 뜻인지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해요.
 
GIB
 
○ 뇌에서 벌어지는 두 눈의 경쟁
 
사람의 눈은 두 개예요. 따라서 사물을 볼 때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는 조금씩 달라요. 안 믿겨진다고요? 지금 한 손에 펜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다행스럽게도 우리의 뇌는 양쪽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를 잘 합쳐서 하나로 보게 해 줘요. 이를 ‘융합 기능’이라고 해요.
 
<;수업안내>;
 

1. 대상 :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TV 사용 등으로 눈의 피로가 많은데, 시력에 대해 궁금한 것을 해결하고 싶은 학생들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3. 수업 목표

눈이 잘 안 보이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해 알 수 있다.

양쪽 눈이 경쟁을 하는 원인과, 두 눈이 어떤 작용으로 물체를 보는지 원리를 알 수 있다.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

초등 5~6학년 항상성과 몸의 조절, 감각 기관의 종류와 역할

5. 수업 지도 순서

안경을 사용하고 있는 학생을 조사하거나, 하루에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TV 등을 보는 시간 등을 조사하는 질문을 통해 시력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 어떤 종류가 있는지, 기사를 토대로 설명한다. 우리 두 눈은 서로 경쟁을 하는 관계라는데, 어떤 의미인지 기사를 토대로 설명한다. 뇌와 시력의 관계를 설명하고, 뇌를 이용해 시력을 회복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달리기와 시력의 관계를 설명하고, 달리기를 하는 것이 시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과학 연구를 소개한다. 시력 회복을 위한 생활 실천 사항을 각자 1~2개 적어본다.

2016년 0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의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심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