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에는 수많은 크레이터가 있어요. 운석이 충돌해서 생긴….”
맑은 가을밤.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도시 한 가운데에 있는 과학동아 천문대에 갔다. 아마추어 천문가 ‘벼리빈 나는바메’는 재미있는 우주이야기를 시작했다.
“혹시 크레이터가 운석 때문에 생겼다고 주장한 과학자가 누군지 아시나요?”



미션1 독일 기상학자 알프레트 베게너

“아…, 누군지 알았는데…. 맞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땡! 갈릴레이는 크레이터가 있다는 걸 발견한 사람이에요. 정답은 알프레트 베게너!” “우와~, 정말?”
1880년 11월 1일에 태어난 독일 기상학자 알프레트 베게너는 사실 ‘대륙이동설’을 주장한 과학자로 더 유명하다.



미션2 판게아와 대륙이동설

“베게너는 1915년에 ‘대륙과 해양의 기원’이라는 책을 발표했어요. 대서양 양쪽 대륙이 갈라져서 움직였다는 ‘대륙이동설’을 주장했답니다.”
옛날 대륙들은 하나로 모여 ‘판게아’라고 부르는 거대한 대륙을 이루고 있었다. 판게아는 약 2억 년 전 갈라져서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하게 되었다.



미션3 기구 타고 세계 신기록

“베게너는 원래 기상학자였어요. 특히 기구를 타고 높은 곳으로 올라가 기상을 관측하기를 좋아했지요.”
“하하, 베게너는 대륙이동설을 주장한 그냥 지질학자인 줄 알았어요.”
베게너는 직접 기구를 타고 52시간 동안 날아다녀서 당시 최고 비행 기록을 세웠다.



미션4 튀어나온 거야? 들어간 거야?

“우주에는 베게너가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달에는 ‘베게너 크레이터’가 있고, 소행성 ‘29277 베게너’도 있답니다.”
“우와~, 우주에 이름을 날릴 정도면 대단하네요.”
천문가 나는바메는 사진을 한 장 꺼내어 썰렁홈즈에게 보여 주었다.


별이 빛나는 밤을 지나~


“베게너가 크레이터가 생기는 원리까지 알아냈다니 놀랐어요.”
“유명한 과학자들의 업적 중 잘 알려지지 않은 게 많아요. 에디슨은 토스터기를 발명했고, 뉴턴은 미적분법을 알아냈어요.”
별이 쏟아지는 도심 한복판 천문대에서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우주 여행하는 꿈을 꿨다.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기분이 좋아서 그만 천문대에서 잠이 들고 말았다. 다음날 아침까지 쭉~!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4년 2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천문학
    • 기상학·대기과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