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1318N010_01.jpg)
우리 고유의 명절인 한가위가 돌아왔다. 썰렁홈즈는 한가위를 맞이해서 우리 전통놀이를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홍보대사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먼저 전문가들에게 찾아가 전통놀이를 배우기로 했다.
썰렁홈즈가 찾아간 곳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전통놀이 연구 동아리였다.
“환영합니다~! 우리는 ‘한국 전통놀이를 설명하는 사람들’, 줄여서 한설사입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1318N010_02.jpg)
미션1 일곱 조각의 도형 마술, 칠교놀이
“첫 번째 놀이는 칠교놀이입니다. 오래 전에 중국에서 전해 내려온 것인데, 일곱 개 나무 조각을 이리저리 조합해서 모양을 만드는 놀이랍니다.”
외국에서는 탱그램(Tangram)이라는 이름의 비슷한 놀이가 있다. 1980년대초부터는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에 소개해 도형을 이해하는 교구로 사용하고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1318N010_03.jpg)
미션2 힘을 겨뤄 넘어뜨리는 씨름
“두 번째 놀이는 씨름입니다. 씨름은 아주 오래 전부터 시작한 힘겨루기 경기죠.”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씨름과 비슷한 그림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왕실부터 서민들에 이르기까지 즐기는 아주 대중적인 놀이였다.
“두 사람이 경기를 치러서 이긴 사람이 하나씩 올라갑니다. 마지막으로 이긴 한 사람이 우승을 하는 경기지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1318N010_04.jpg)
미션3 두 팀이 힘을 겨루는 줄다리기
“세 번째 놀이는 줄다리기입니다. 함께 농사를 지으면서 여러 사람이 풍년을 기원하면서 생겨난 놀이랍니다.”
줄다리기는 여러 사람이 두 팀으로 나눠서 서로 줄을 당겨 힘을 겨루는 경기다.
경기를 할 때는 두 팀이 비슷한 조건이 되도록 사람 수를 맞춘다.
“양쪽 팀의 몸무게가 같아지면 시작합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1318N010_05.jpg)
미션4 손잡고 함께 도는 강강술래
“마지막은 강강술래입니다. 남해안 지방에서 전해왔는데 여러 사람이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면서 빙빙 돌면서 노래하는 놀이를 말합니다.”
임진왜란 때 충무공이 왜적을 속이기 위해서 부녀자들에게 군복을 입혀서 빙빙 돌면서 노래를 하게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강강술래~, 노래를 하면서 문을 통과하세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1318N010_06.jpg)
“우와~, 우리나라 전통놀이는 정말정말 재미있는 게 많아요.”
드디어 썰렁홈즈가 모든 전통놀이를 배웠다.
“이번 추석에는 아주아주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전통 놀이를 소개할게요.”
예상대로 썰렁홈즈와 함께 전통놀이를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렸다. 썰렁홈즈는 정성을 다해서 많은 사람들과 전통놀이를 했다. 이상해질 정도로…, 아마 올해 한가위는 절대 잊을 수 없는 추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