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리까리드라이
어르르으미~. 팥빙수를 빨리 먹다 혀가 언 헷갈리나야. 날도 더운데 차가운 얼음마저도 헷갈려서 땀이 다 난다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99.jpg)
얼음
얼음은 물이 액체에서 고체로 상태가 바뀐 거야.
‘얼음(고체)↔물(액체)↔수증기(기체)’와 같이 물은 온도가 0℃ 아래로 내려가면 얼음으로 바뀌고, 100℃가 넘으면 기체 상태가 되면서 수증기로 바뀌지. 물에는 여러 가지 불순물과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방울이 섞여 있어. 얼음이 될 때 불순물이 남아 푸르스름한 흰 빛을 띤다는 사실! 불순물이 거의 없고 공기방울이 잘 빠져나간 얼음은 투명하단다. 투명한 얼음도 팥빙수를 만들 때처럼 얼음을 깎으면 하얗게 되는데, 잘게 부서진 얼음이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01.jpg)
드라이아이스
언뜻 보기에 드라이아이스는 얼음과 같아 보여. 하지만 많이 달라. 이산화탄소를 얼린 게 드라이아이스거든. ‘드라이아이스(고체)↔액체이산화탄소(액체)↔이산화탄소(기체)’처럼 액체이산화탄소는 -78.45 °C보다 낮은 온도에서 얼어 고체인 드라이아이스가 됐다가 -56.55 °C보다 높은 온도에서 기체로 바뀌지. 드라이아이스는 녹는 온도가 매우 낮아서 실온에서 기체로 바뀐단다. 이때 주변의 열을 많이 빼앗아 주변 온도를 낮춰 주지. 아이스크림 박스나 낮은 온도를 오래 유지해야 하는 곳에 드라이아이스를 쓰는 이유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02.jpg)
드라이아이스 주변에 하얀 안개가 생기는 현상을 볼 수 있어. 드라이아이스가 기체인 이산화탄소로 바뀌면서 주변에 있는 수증기를 물방울로 만들고, 이 물방울이 빛을 산란시켜 하얗게 보이는 거야. 물 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으면 더 빨리 기체로 바뀌지. 잘 보이진 않지만 얼음 주변에서도 하얀 안개가 보일 때가 있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03.jpg)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해. 얼어 있는 덩어리가 투명하게 보이면 얼음, 하얗게 보이면 드라이아이스야. 하지만 얼음도 갈아놓으면 빛을 반사해 하얗게 보이니까 헷갈릴 걸~. 깔깔깔!
어르르으미~. 팥빙수를 빨리 먹다 혀가 언 헷갈리나야. 날도 더운데 차가운 얼음마저도 헷갈려서 땀이 다 난다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99.jpg)
얼음
얼음은 물이 액체에서 고체로 상태가 바뀐 거야.
‘얼음(고체)↔물(액체)↔수증기(기체)’와 같이 물은 온도가 0℃ 아래로 내려가면 얼음으로 바뀌고, 100℃가 넘으면 기체 상태가 되면서 수증기로 바뀌지. 물에는 여러 가지 불순물과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방울이 섞여 있어. 얼음이 될 때 불순물이 남아 푸르스름한 흰 빛을 띤다는 사실! 불순물이 거의 없고 공기방울이 잘 빠져나간 얼음은 투명하단다. 투명한 얼음도 팥빙수를 만들 때처럼 얼음을 깎으면 하얗게 되는데, 잘게 부서진 얼음이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01.jpg)
언뜻 보기에 드라이아이스는 얼음과 같아 보여. 하지만 많이 달라. 이산화탄소를 얼린 게 드라이아이스거든. ‘드라이아이스(고체)↔액체이산화탄소(액체)↔이산화탄소(기체)’처럼 액체이산화탄소는 -78.45 °C보다 낮은 온도에서 얼어 고체인 드라이아이스가 됐다가 -56.55 °C보다 높은 온도에서 기체로 바뀌지. 드라이아이스는 녹는 온도가 매우 낮아서 실온에서 기체로 바뀐단다. 이때 주변의 열을 많이 빼앗아 주변 온도를 낮춰 주지. 아이스크림 박스나 낮은 온도를 오래 유지해야 하는 곳에 드라이아이스를 쓰는 이유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02.jpg)
드라이아이스 주변에 하얀 안개가 생기는 현상을 볼 수 있어. 드라이아이스가 기체인 이산화탄소로 바뀌면서 주변에 있는 수증기를 물방울로 만들고, 이 물방울이 빛을 산란시켜 하얗게 보이는 거야. 물 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으면 더 빨리 기체로 바뀌지. 잘 보이진 않지만 얼음 주변에서도 하얀 안개가 보일 때가 있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5/C201215N003_img_03.jpg)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해. 얼어 있는 덩어리가 투명하게 보이면 얼음, 하얗게 보이면 드라이아이스야. 하지만 얼음도 갈아놓으면 빛을 반사해 하얗게 보이니까 헷갈릴 걸~. 깔깔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