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수록 매력만점! 곤충은 내 친구

‘웽웽~!’
어린이 여러분 안녕! 내 이름은 동애등에야~. 이름이 특이하지? 자세한 내 소개는 차차 하기로 하고…. 오늘 내가 나온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들에게 곤충 친구들을 소개하기 위해서야. 어이, 거기 슬금슬금 뒷걸음치는 어린이들! 곤충은 지저분하고 징그럽다는 편견을 없애 줄 테니 이리 바짝 다가오라구~. 어! 저기 명예기자 들이 온다~. 그럼 지금부터 귀염둥이 내 친구들을 소개할게!
 
곤충, 맛있는 과일을 열리게 하다!

명윤, 성우 명예기자들, 만나서 반가워! 그런데 둘 다 표정이 밝지 않네. 너희도 우리 곤충들이 무서운 거구나? 끄응…. 그렇다면 먼저 인간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곤충을 연구하시는 최영철 박사님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자. 어서 날 따라와~.


조성우 기자 : 박사님 안녕하세요. 저는 곤충을 보면 지저분한 병균을 옮길 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우리에게 유용한 곤충이 정말 있는 건가요?


최영철 박사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과장) : 파리와 같은 일부 곤충은 병균을 옮길 수도 있지만 착한 일을 하는 곤충이 더 많아요. 실제로 무당벌레는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고 사는 진딧물을 잡아먹는 천적이죠. 바로 이 곳에선 이런 착한 곤충들을 많은 사람에게 보급하기 위해 연구한답니다.


강명윤 기자  : 무당벌레가 그렇게 기특한 일을 한다니, 정말 놀라워요!


최영철 박사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과장) :  이제 곤충에 대한 오해가 풀렸나요? 그럼 맛있는 과일을 주렁주렁 열리게 하는 호박벌과 가위벌을 만나러 동애등에와 함께 가 볼까요?



네~, 정말 기대돼요! 동애등에야, 어서 벌들을 소개시켜 줘.


식물이 꽃을 피워 열매를 맺으려면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는 ‘수분’이 이뤄져야 해. 이 때 보통 바람이나 곤충이 꽃가루를 옮겨 주지만, 비닐하우스 안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바람이나 곤충이 없기 때문에 수분을 하기가 어려워.
그래서 이 곳에선 많은 벌을 키워서 농부 아저씨들께 분양해 드린단다. 벌들을 비닐하우스에 풀어 놓으면 꽃의 수분을 도와 맛있는 딸기와
같은 과일이 열리는 거지!
 
무당벌레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진딧물을 잡아먹고 있다.




호박벌(왼쪽)과 머리뿔가위벌(오른쪽)의 모습.






▲ 무리생활을 하는 호박벌은 여왕벌, 수벌, 일벌로 계급이 나뉜다. 호박벌은 밀랍으로 방을 만들어 그 속에 알을 낳고 꽃가루와 꿀을 함께 넣어 둔다.




 
▲ 머리뿔가위벌은 단독 생활을 한다. 짝짓기를 한 암컷은 긴 대롱을 찾아 꽃가루를 넣고 알을 낳은 후 흙으로 막아 여러 개의 방을 만든다.


애완곤충이 없다? 있다!

‘휘르르르르~.’
이 소리 들리니? 마치 방울이 굴러가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방울벌레’의 소리야. 수컷 방울벌레는 앞날개를 펼쳐 비비면서 소리를 내는데, 이 소리가 매우 아름다워서 사람들이 애완곤충으로 키우기도 해. 그래서 이 곳에서는 나날이 인기가 높아지는 애완곤충도 연구하고 있어. 많은 곤충을 효율적으로 키우는 법을 개발해 여러 사람에게 분양하는 거지.
그럼 이번엔 애완곤충 친구들도 만나 보자. 어, 마침 저기 호랑나비가 온다!


‘앗싸! 호랑나비~.’ 그렇지 않아도 심심하던 참인데 잘됐네. 어이~, 명예기자들! 지금부터 내가 살아온 과정을 쭉 보여 줄 테니 두눈 크게 뜨고 잘 보라구!


이젠 내 차례! 난 장수풍뎅이야! 수컷인 나는 머리에 긴 뿔과 등에 날카로운 뿔을 가지고 있지. 내 멋진 외모를 보고 반한 어린이가 한두 명이 아니라고~. 뿔도 멋있지만 나의 진정한 매력은 바로 튼튼한 여섯 다리라고 생각해. 난 나무를 타고 오르기 때문에 날카로운 발톱이 많아서 다리 힘이 무지 세거든. 자~, 그럼 성우 옷을 타고 한 번 올라가 볼까?
 

▲ 겨울을 지낸 장수풍뎅이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기 위해 산속의 부엽토나 부식된 나무를 먹으며 에너지를 최대한 저장한다


 

▲ 어른벌레가 된 장수풍뎅이는 날카로운 발톱이 달린 발로 참나무를 오르며 수액을 먹고 산다.



음식물 쓰레기, 나에게 맡겨라! 동애등에

‘웽~.’ 마지막으로 내 소개를 해 볼게! 난 파리목에 속하는 동애등에야. 외모는 너희들이 자주 보는 파리와 비슷하지만, 이래 봬도 무지 청결하다구! 게다가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으로 분해하는 기특한 재주도 있지~. 실제로 내가 만든 거름으로 맛있는 배추와 버섯을 재배하고 있어.
20일 전에 약 2㎝ 길이의 애벌레였던 나는 총 2g의 음식물 쓰레기를 혼자 분해해서 훌륭한 퇴비로 만들었지! 적은 양이라고? 천만의 말씀! 동애등에 성충 한 마리가 낳는 알이 약 1000개니까, 내 형제자매들이 분해한 음식물 쓰레기만 해도 2㎏이나 된다고! 우리 정말 기특하지?
 
동애등에 유충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고 있다.



 

 


▲▶ 동애등에가 알을 낳는 모습과 알. 어른벌레가 된 동애등에는 이슬만 먹다가 약 10일이 지나면 죽는다.

 
너희들이 쓴 곤충일기를 보니까 어느덧 우리와 많이 가까워졌는걸? 근데 일기에 내 얘기는 없네. 흥! 서운하지만 이제 우린 친구가 됐으니까 삐치지 않을게~. 대신 부탁 한 가지만 들어 줘. 힘든 우리를 위해서라도 앞으로는 음식 남기지 않기로 모두 약속! 그리고 앞으로도 우리 곤충들 많이 사랑해 줘~!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20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혜림 기자
  • 사진

    성나해
  • 기타

    강명윤 명예기자
  • 조성우 명예기자
  • 도움

    농촌진흥청
  • 도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곤충산업과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농업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