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 일로 화장실 갈 틈도 없이 바빠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말을 하는 날이 있어요. 바로‘망종’이랍니다. 24절기 중 9번째 절기인 망종은 음력 4~5월, 양력으로는 6월 6일 무렵입니다. 망종은 벼나 보리처럼 까끌까끌한 껍질과 길고 가는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을 뜻하는 말로 이 때 모내기와 보리추수를 합니다.
모내기를 하기 좋은 망종의 비밀은 바로 태양에 있습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커다란 구에서 태양이 다니는 길을‘황도’라고 해요. 황도에서 봄의 기준점인 춘분점에서 태양이 멀어진 정도를 ‘황경’이라고합니다. 태양이 여름의 기준점인하지점을 향해 움직이면 황경이 커지며 날씨가 점점 더워집니다. 망종이 되면 황경 75도가 되는데 모내기를 하기 딱~ 좋은 날씨가 된답니다.
망종의 풍습
보리그스름: 전라남도에서는 풋보리를 베어 불에 그슬려 먹는 ‘보리그스름’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농사가 잘 된다고 생각했어요.
망종보기: 음력으로 4월에 망종이 있으면 보리를 빨리 거둘 수 있지만 5월에 망종이 들면 보리추수가 늦어 보리농사를 망치고 모내기 시기도놓치게됩니다. 그래서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망종이 언제 인지 ‘망종보기’를 해서 농사의 풍흉을 점쳤습니다.
망종에 보리추수를 하는 이유는 망종을 넘기면 잘 익은 보리가 바람에 꺾이거나 부러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야 논에 모내기를 할 수 있답니다. 이 때 농촌은 보리를 거두랴 벼를 심으랴 너무 바빠 ‘별보고 나가 별보고 들어온다’거나 ‘불 때던 부지깽이도 나와 거든다’라는 말까지 생겼어요.
모내기를 하기 좋은 망종의 비밀은 바로 태양에 있습니다.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커다란 구에서 태양이 다니는 길을‘황도’라고 해요. 황도에서 봄의 기준점인 춘분점에서 태양이 멀어진 정도를 ‘황경’이라고합니다. 태양이 여름의 기준점인하지점을 향해 움직이면 황경이 커지며 날씨가 점점 더워집니다. 망종이 되면 황경 75도가 되는데 모내기를 하기 딱~ 좋은 날씨가 된답니다.
망종의 풍습
보리그스름: 전라남도에서는 풋보리를 베어 불에 그슬려 먹는 ‘보리그스름’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농사가 잘 된다고 생각했어요.
망종보기: 음력으로 4월에 망종이 있으면 보리를 빨리 거둘 수 있지만 5월에 망종이 들면 보리추수가 늦어 보리농사를 망치고 모내기 시기도놓치게됩니다. 그래서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망종이 언제 인지 ‘망종보기’를 해서 농사의 풍흉을 점쳤습니다.
망종에 보리추수를 하는 이유는 망종을 넘기면 잘 익은 보리가 바람에 꺾이거나 부러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야 논에 모내기를 할 수 있답니다. 이 때 농촌은 보리를 거두랴 벼를 심으랴 너무 바빠 ‘별보고 나가 별보고 들어온다’거나 ‘불 때던 부지깽이도 나와 거든다’라는 말까지 생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