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과 대화할 때 들리는 소리
친구들도 학교에서 쉬는 시간이고 점심시간이고 자주 친구들과 떠들죠? 학교에서 친구들과 떠드는 것에도‘소리’의 과학이 숨어 있어요. 수업시간에 선생님 몰래 떠드는 소리는 20~30dB(데시벨이라고 읽어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죠) 정도랍니다.
쉬는 시간에 친구와 수다를 떨때는 60dB, 학급 전체가 떠드는 소리는 75dB 정도라고 해요. 데시벨은 전화 발명가인 그레이엄 벨의 이름에서 딴 것이에요. 10dB씩 커질 때마다 10배씩 소리가 커진다고 하네요. 즉, 20dB의 소리는 10dB보다 2배가 아니라 10배 소리가큰거예요. 소리의 크기에 대해 잘 알겠죠?
국기계양대에서 찾은 과학
학교에 있는 국기게양대에도 과학이 숨어 있답니다. 높은 곳에 있는 태극기를 어떻게 올렸을까요? 그것은 도르래가 있기 때문입니다. 도르래는 무거운 것도 적은 힘으로 쉽게 올릴 수 있고 높이 올려야 하는 것을 아래로 당기면서 편하게 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기게양대에 도르래로 태극기를 올리는 것입니다. 도르래는 참 편리해서 옛날에도 많이 쓰였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정약용이 만든 거중기와 우물의 두레박입니다.
달리기의 과학
우리가 체육시간이나 운동회 때 꼭 하는 달리기. 달리기에도 과학이 있어요. 먼저 달리기가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백과사전을 보면‘다양한 거리와 코스를 달리는 운동 또는 경기 종목’이라고 해요. 이제 달리기에 숨어 있는 과학에 대해 알아보아요. 달리기를 하면 호흡이 빨라져요. 그 이유는우리 몸이 에너지를 만드는데 영양소와 산소가 결합해야 되기 때문이죠. 운동을 하면 에너지를 쓰게 되므로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게 되고 호흡이 빨라지는 것입니다. 심장은 산소를 혈액 속에 녹여서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기 위해서 빨리 뛰는 것이랍니다.
번개가 쳐도 안전한 학교
우르릉 쿵쾅! 하늘이 번쩍번쩍 요동치며 요란하게 비가 오는 어느 날이었어. 교실에서 한 친구가 무섭다며 몹시 당황해 하는 거야. 그 때 나랑 친구들이 학교 건물 옥상에 있는 피뢰침을 가리키면서 안심하라고 위로해 주었어. 피뢰침은 번개가 전기현상임을 알게 된 미국의 과학자 프랭클린이 발명한 것인데, 건물 꼭대기에 뾰족한 금속막대로 설치되어 있고 땅속까지 굵은 구리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단다.
번개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내려오면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길을 찾다가 땅위에 뾰족한 물건이 있으면 재빨리 그 곳으로 이동해. 그래서 건물꼭대기에 피뢰침을 설치해 두면 번개가 치더라도 피뢰침과 피뢰침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따라 땅으로 내려가서 건물에는 아무런 피해가 없는 거지.
그럼 천둥과 번개가 왜 생기는지도 확인해 보자. 천둥과 번개를 일으키는 것은 구름 때문이야. 구름 속에 있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부딪치면서 강한 전기가 일어나는데 그것을 번개라고 해.또 천둥은 전하들의 높은 에너지 때문에 공기가 팽창해 일어나는 소리지. 번개랑 천둥은 동시에 일어나는데 우리가 항상 번개가 치고 난 다음에 천둥소리를 듣게 되는 이유는 뭘까? 그건 빛의 속도와 소리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야. 소리의 속도는 1초당 340m이고 빛의 속도는 1초당 30만㎞이니까 번개가 더 빨리 생기는 것처럼 보이는 거지.
친구들도 학교옥상에 있는 피뢰침을 한번 찾아봐.
친구들도 학교에서 쉬는 시간이고 점심시간이고 자주 친구들과 떠들죠? 학교에서 친구들과 떠드는 것에도‘소리’의 과학이 숨어 있어요. 수업시간에 선생님 몰래 떠드는 소리는 20~30dB(데시벨이라고 읽어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죠) 정도랍니다.
쉬는 시간에 친구와 수다를 떨때는 60dB, 학급 전체가 떠드는 소리는 75dB 정도라고 해요. 데시벨은 전화 발명가인 그레이엄 벨의 이름에서 딴 것이에요. 10dB씩 커질 때마다 10배씩 소리가 커진다고 하네요. 즉, 20dB의 소리는 10dB보다 2배가 아니라 10배 소리가큰거예요. 소리의 크기에 대해 잘 알겠죠?
국기계양대에서 찾은 과학
학교에 있는 국기게양대에도 과학이 숨어 있답니다. 높은 곳에 있는 태극기를 어떻게 올렸을까요? 그것은 도르래가 있기 때문입니다. 도르래는 무거운 것도 적은 힘으로 쉽게 올릴 수 있고 높이 올려야 하는 것을 아래로 당기면서 편하게 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기게양대에 도르래로 태극기를 올리는 것입니다. 도르래는 참 편리해서 옛날에도 많이 쓰였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정약용이 만든 거중기와 우물의 두레박입니다.
달리기의 과학
우리가 체육시간이나 운동회 때 꼭 하는 달리기. 달리기에도 과학이 있어요. 먼저 달리기가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백과사전을 보면‘다양한 거리와 코스를 달리는 운동 또는 경기 종목’이라고 해요. 이제 달리기에 숨어 있는 과학에 대해 알아보아요. 달리기를 하면 호흡이 빨라져요. 그 이유는우리 몸이 에너지를 만드는데 영양소와 산소가 결합해야 되기 때문이죠. 운동을 하면 에너지를 쓰게 되므로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게 되고 호흡이 빨라지는 것입니다. 심장은 산소를 혈액 속에 녹여서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기 위해서 빨리 뛰는 것이랍니다.
번개가 쳐도 안전한 학교
우르릉 쿵쾅! 하늘이 번쩍번쩍 요동치며 요란하게 비가 오는 어느 날이었어. 교실에서 한 친구가 무섭다며 몹시 당황해 하는 거야. 그 때 나랑 친구들이 학교 건물 옥상에 있는 피뢰침을 가리키면서 안심하라고 위로해 주었어. 피뢰침은 번개가 전기현상임을 알게 된 미국의 과학자 프랭클린이 발명한 것인데, 건물 꼭대기에 뾰족한 금속막대로 설치되어 있고 땅속까지 굵은 구리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단다.
번개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내려오면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길을 찾다가 땅위에 뾰족한 물건이 있으면 재빨리 그 곳으로 이동해. 그래서 건물꼭대기에 피뢰침을 설치해 두면 번개가 치더라도 피뢰침과 피뢰침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따라 땅으로 내려가서 건물에는 아무런 피해가 없는 거지.
그럼 천둥과 번개가 왜 생기는지도 확인해 보자. 천둥과 번개를 일으키는 것은 구름 때문이야. 구름 속에 있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부딪치면서 강한 전기가 일어나는데 그것을 번개라고 해.또 천둥은 전하들의 높은 에너지 때문에 공기가 팽창해 일어나는 소리지. 번개랑 천둥은 동시에 일어나는데 우리가 항상 번개가 치고 난 다음에 천둥소리를 듣게 되는 이유는 뭘까? 그건 빛의 속도와 소리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야. 소리의 속도는 1초당 340m이고 빛의 속도는 1초당 30만㎞이니까 번개가 더 빨리 생기는 것처럼 보이는 거지.
친구들도 학교옥상에 있는 피뢰침을 한번 찾아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