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 중국, 일본 사람들은 매우 비슷하게 생겼어요. 지만 우리는 얼굴만 보고도 한국 사람인지, 중국 사람인지, 일본 사람인지 어느 정도 알아맞힐 수 있지요. 그러나 한국인의 얼굴도 다 같지는 않답니다. 지금 당장 한국인의 얼굴을 한번 보세요. 주변에 아무도 없다구요? 거울이 있잖아요. 거울 속에서 예쁘고 멋진 한국인의 얼굴을 찾아보세요. 매력적인 우리의 얼굴을 보며 한국인의 얼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볼래요?

 

북쪽에서 온 얼굴, 남쪽에서 온 얼굴?

한국인의 얼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북쪽에서 온 북방계 얼굴과 남쪽에서 온 남방계 얼굴이랍니다. 왜 이렇게 둘로 나뉘는 걸까요?
아주 오래전인류는 아프리카에만 살고 있었어요. 모두 남방계였지요. 시간이 흐르면서 아프리카 사람들은 세계 각지로 이동했어요. 이 때 빙하기가 닥치면서 시베리아에 살던 사람들은 영하 50~60℃의 추위를 1만 5000년 간 견디면서 남방계와는 다른 북방계로 바뀐 거예요.
원래 한반도에는 아프리카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한국으로 온 남방계가 살고 있었어요. 하지만 북방계 사람들이 북쪽에서 한국으로 내려오면서 현재는 북방계와 남방계가 함께 살고 있는 거지요.
한서대학교 얼굴연구소 조용진 소장이 한국인의 얼굴 생김새를 분류한 결과 80%가 북방계, 20%는 남방계의 얼굴이라고 해요.
한국 사람은 다 똑같은 줄 알았는데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뉜다니 정말 신기하죠?



 
* 한국인의 기원을 설명하는 학설로는 단일한 민족으로 시작되었다는 단일기원설과, 남방계와 북방계가 섞였다는 남·북방계 혼합설 등이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남·북방계가 섞여 한국인이 되었다는 남·북방계 혼합설이 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 북방계일까, 남방계일까?

 ★★★★★ 북방계와 남방계는 어떻게 다를까? ★★★★★
흰 피부                       피부                   까무잡잡한 피부                         
갸름한 얼굴                 얼굴                   네모난 얼굴
들어가 있다                 광대뼈                튀어나와 있다 
쌍꺼풀이 없는 작은 눈   눈                      쌍꺼풀이 있는 큰 눈
가늘고 옅은 반달 모양   눈썹                   진하고 두꺼운 모양
가깝다                        눈 사이의 거리     멀다       
길고 끝이 뾰족한 모양   코                     짧은 코와 큰 콧망울 
얇다                           입술                  두껍다             
 
 
 
내 얼굴은 어떤 얼굴?

제1기‘어린이과학동아’명예기자 이지현(서울 청구초등학교 4학년) 친구의 얼굴을 보며 북방계인지 남방계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지현 친구는 북방계다 남방계다 확실하게 나눌 수 없는 중간형이에요. 북방계와 남방계가 오랫동안 함께 살면서 유전자가 섞여 중간형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하지만 까무잡잡한 피부에 동그란 콧망울, 볼록한 뺨등 남방계의 특징을 더 많이 가지고 있어요. 현대의 한국인은 이렇게 북방계와 남방계가 고루 섞여 있답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 아직 성장기인 친구들은 자라면서 얼굴이 조금씩바뀐 답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 때는 쌍꺼풀이 없지만 나중에 커서 생기는 경우도 32%나 되지요. 지금은 북방계나 남방계 어느 한쪽의 특징을 많이 보이더라도 자라면서 달라질 수 있답니다.

동방신기는 어떤 얼굴?

텔레비전으로 자주 보는 연예인들의 얼굴은 어떤 형인지 한번 알아볼까요? 멋진 춤과 노래로 인기가 많은 동방신기의 경우 믹키유천은 북방계, 영웅재중과 최강창민은 남방계예요. 시아준수와 유노윤호는 중간형이랍니다. 우리에게 웃음을 주는 무한도전의 멤버들은 박명수, 하하, 정형돈, 정준하는 북방계, 노홍철은 남방계, 유재석은 중간형이지요. 이외에도 어떤 연예인들이 북방계고 또 남방계인지 살펴보세요.

북방계
믹키유천, 박명수, 하하, 정형돈, 정준하, 이영애, 최지우
남방계
영웅재중, 최강창민, 노홍철, 문근영, 한예슬, 김아중
중간형
시아준수, 유노윤호, 유재석, 고현정, 김태희, 김미려

 

내가 바로 한국 미인!

북방계든 남방계든 일반적으로 미인이라고 불리는 얼굴이 있어요. 하지만 미인의 기준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사람마다 다르답니다. 어떤 얼굴이 현재 한국 미인일까요? 또 사람들은 어떤 얼굴을 좋아할까요? 한국 미인의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아요.

미인의 얼굴이 변한다?

조선시대의 미인도를 본 적이 있나요? 작은 눈과 반달눈썹, 작은 입…. 미인도의 미인은 요즘 미인과는 많이 달라요. 최근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는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본상을 받은 171명의 얼굴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최근에 미스코리아로 뽑힌 미인들은 예전 미스코리아보다 이마는 길어지고 턱은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입술은 더 도톰해졌지요. 이런 점들은 바로 어려 보이는 얼굴의 특징이에요. 어릴 때는 이마의 길이가 코나 턱보다 길지만 나이가 들수록 코와 턱의 길이가 더 길어진답니다. 즉 요즘 미인이 이마는 길어지고 턱이 작아졌다는 것은 점점 더 어려 보이는 얼굴을 선호하게 됐다는 것이죠. 요즘‘동안’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이기
도 합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미인의 기준이 되어 온 하얗고 깨끗한 피부, 생기 넘치는 눈, 붉은 입술 역시 어리고 건강하다는 의미랍니다.


2000년 미스코리아 서울 미 박시연(왼쪽)과1989년도 미스코리아 선 고현정(오른쪽)의 사진을 비교해 보면 예전해 비해 이마는 길어지고 턱은 작아졌다. 더 어려 보이는 얼굴을선호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2006년 미스코리아 진 이하늬와 1988년미스코리아 진 김성령. 얼굴의 변화가 뚜렷하게 보인다.



 

사람들은 어떤 얼굴을 좋아할까?

우리는 어떤 사람을 흘깃 보기만 해도 그 얼굴이 호감이 가는지 가지 않는지 압니다. 보통 사진을 보여 준지 0.013초 만에 사진 속의 얼굴에 호감이 가는지 아닌지 알아 낸다고 해요. 이렇게 얼굴을 판단하는 것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벌어지는 일이죠.
그렇다면 우리들은 어떤 얼굴을 좋아할까요? 물론 누구나 생각하는 미인과 미남의 얼굴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다가 아니에요. 재미있게도 사람들은 자신과 닮은 얼굴을 좋아한답니다. 즉, 여성이라면 자신을 닮은 남성, 남성이라면 자신을 닮은 여성을 가장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는 거예요. 이 외에도 자신을 닮은 사람을 더 신뢰하거나자신을 닮은 애완견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요. 자신이 좋아하는 얼굴은 사람들의 얼굴만큼 다양하다는 거지요.
‘예쁘다’는 것과‘매력적이다’는 다르답니다. 훌륭한 그림을 보면 누구나 멋지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이 진짜 좋아하는 그림은 사람마다 다르듯이 말이죠.

500여 명의 얼굴 중 대표적인 얼굴을 가진 45명을 합쳐 만든 한국 여성의 평균 얼굴.

 



미인? 나잖아!

보편적인 미인의 기준은 어리고 건강해 보이는‘동안’입니다. 지금 거울을 보세요. 아직 친구들의 얼굴이 미인으로 보이지 않는다구요? 그렇다면 기사를 다시 한 번 읽어 봐야겠군요. 아직 어린, 진짜 동안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이미 모두 미인이랍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7년 0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현수랑 기자
  • 도움

    조용진 소장
  • 도움

    박수진 소장
  • 사진

    박병규

🎓️ 진로 추천

  • 문화인류학
  • 심리학
  • 국어국문·한국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