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 약 8μm, 전체 길이 약 10만km, 몸속 ‘골목길’로 불리는 이것. 바로 모세혈관이다. 굵은 혈관인 동맥과 정맥이 ‘고속도로’라면 세동맥(가는 동맥)과 세정맥(가는 정맥)은 ‘국도’에 비유할 수 있다. 모세혈관은 이들 ‘국도’에서 뻗어나와 작은 마을까지 다다른 골목길쯤 된다. 심장에서 출 ...
배아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어떤 세포로든 분화할 수 있는 발달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성체에 있는 줄기세포들보다 발달 잠재력이 높은 셈인데요. 하지만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데에는 항상 생명윤리 문제가 따라다닙니다. 발달을 시작한 지 5~7일 된 배아에서 세포를 꺼내 실험실에서 배양 ...
10월은 노벨상 시즌입니다.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파키스탄인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한 이론물리학자 모하마드 압두스 살람 박사가 설립한 ‘국제이론물리센터(ICTP·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를 소개하려고 합니다.ICTP는 이탈리아의 동북쪽 국경 트리에스테(Trieste) 시에 있습니다. 트리에 ...
멸치와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이 일품인 잔치국수, 찬물을 붓고 무를 숭숭 썰어 넣어 맑게 끓여낸 복지리, 겉을 바삭하게 구운 삼겹살…. 각기 다른 음식이지만 공통적으로 떠오르게 하는 맛이 있다. 쓴맛, 단맛, 신맛, 짠맛에 이어 다섯 번째 맛으로 인정받은 감칠맛이다. 감칠맛은 고기나 생선, 버 ...
첫 번째 질문 열손가락, 개성 넘치는 이유? 컴퓨터 자판을 칠 때 쉴 새 없이 움직이는 손가락을 보면 문득 신기해집니다. 어쩜 다섯 손가락 모두 길이도 다르고 두께도 다르고 위치도 다를까요? 똑같은 손가락 세포를 검지부터 약지까지 개성 있게 바꾸는 발달 인자는 무엇일까요? 배아 세포가 특 ...
지난 화에서 윌리엄 해밀턴이 게임 이론을 도입해 성비의 진화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살펴봤다. 이를 길잡이로 삼아 조지 프라이스는 사슴뿔의 진화를 설명해 냈고, 이후 존 메이나드 스미스와 프라이스는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를 발표했다.리처드 도 ...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해양대기조사연구소 호주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엇인가요? ‘한 여름의 크리스마스’ ‘캥거루’ ‘오페라 하우스’. 여러 가지가 있을 텐데요. 저는 ‘바다’를 꼽고 싶습니다. 호주는 나라 전체가 세 개의 큰 바다(인도양, 태평양, 남극해)로 둘러싸여 ...
“반려견 록키가 갤러리에 갈 때마다 무척 즐거워했어요. 저는 즐거움보다 딜러가 과대 평가한 작품에만 신경을 쓰고 있었는데 말이죠. 궁금했습니다. (예술을 즐기는) 록키의 비결이 뭔지.”지난 해 3월, 미술사를 전공한 미국의 평론가 제시카 도슨 박사는 예술영화를 유통하는 업체 ‘크라이테리 ...
현대 진화 이론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개념은 게임 이론이다. ‘진화 게임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 이론은 엉킨 타래 같은 진화의 까다로운 개념들을 시원하게 풀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ESS 개념의 등장은 다윈 이후 진화 이론에서 나온 가장 중요한 진전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여지리라고 믿는다. ...